<앵커>
여든이 넘어 한글을 깨친 뒤 시를 써 시집까지 낸 할머니들이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로도 만들어졌던 이 칠곡 할머니들 이야기가 뮤지컬로 재탄생했습니다.
조제행 기자입니다.
<기자>
[할머니 계속 읽어주세요.]
[우리 손주 책을 가져다 읽어 달라고 하니 무서워 죽겠다.]
[힘들 때마다 붙잡고 외우며 꼭 오라버니가 곁에 있는 것 같았지.]
사별한 남편과의 첫사랑의 기억을 담담히 풀어내는 할머니.
전쟁에 가난에, 공부할 기회조차 없었던 한글을 문해 학교에서 배웠고, 웃음과 눈물이 함께 했던 삶을 시로 써서 풀어냈습니다.
에세이 '오지게 재밌게 나이 듦'과 다큐멘터리 '칠곡 가시나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창작 뮤지컬입니다.
[오경택/뮤지컬 연출가 : 화려하게 멋지게 꾸미고 하는 것보다는 그 시의 힘을 어떻게 하면 오롯이 편안하게 전달 드릴 수 있을까, 있는 그대로를 솔직하게 전달 드릴 수 있을까가, 가장 큰 저의 고민이었고요.]
할머니들의 사연은 젊은 배우들에게도 공감을 자아냈습니다.
이제는 설렘 가득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는 칠곡 할머니들, 뮤지컬엔 그 행복의 비결도 담겨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 VJ : 오세관, 디자인 : 임찬혁)
조제행 기자 jdono@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여든이 넘어 한글을 깨친 뒤 시를 써 시집까지 낸 할머니들이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로도 만들어졌던 이 칠곡 할머니들 이야기가 뮤지컬로 재탄생했습니다.
조제행 기자입니다.
<기자>
[할머니 계속 읽어주세요.]
[우리 손주 책을 가져다 읽어 달라고 하니 무서워 죽겠다.]
책을 읽어달라는 손자의 요구에 화들짝 놀라는 할머니.
[힘들 때마다 붙잡고 외우며 꼭 오라버니가 곁에 있는 것 같았지.]
사별한 남편과의 첫사랑의 기억을 담담히 풀어내는 할머니.
전쟁에 가난에, 공부할 기회조차 없었던 한글을 문해 학교에서 배웠고, 웃음과 눈물이 함께 했던 삶을 시로 써서 풀어냈습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한 칠곡 할머니들의 시가 이번엔 뮤지컬 노래가 됐습니다.
에세이 '오지게 재밌게 나이 듦'과 다큐멘터리 '칠곡 가시나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창작 뮤지컬입니다.
[오경택/뮤지컬 연출가 : 화려하게 멋지게 꾸미고 하는 것보다는 그 시의 힘을 어떻게 하면 오롯이 편안하게 전달 드릴 수 있을까, 있는 그대로를 솔직하게 전달 드릴 수 있을까가, 가장 큰 저의 고민이었고요.]
할머니들의 사연은 젊은 배우들에게도 공감을 자아냈습니다.
[박채원/뮤지컬 배우 : (문해 학교에 실제로 가봤는데) 슬픈 일은 하나도 없었거든요. 그런데 그 할머니들이 그냥 수업 시간에 자기 이야기를 막 하세요. 숫자 동그라미 몇 개인지 몰라서 돈 계산하는 거 힘들어했던 이야기를 막 하시는데 배우들만 뒤에서 막 우는 거예요.]
이제는 설렘 가득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는 칠곡 할머니들, 뮤지컬엔 그 행복의 비결도 담겨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 VJ : 오세관, 디자인 : 임찬혁)
조제행 기자 jdon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