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가운데 16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에서 한 청년이 취업 준비 학원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한국의 실업률은 1년전과 동일한 3.7%로 양호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이면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 오른 16.4%를 기록했다. 증가 폭은 2021년 2월(3.7% 포인트) 이후 3년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체감실업률이란 공식적인 '실업률'로 잡히진 않지만, 더 나은 일자리를 원하는 단시간 근로자·잠재구직자·잠재취업가능자 등을 포함한다. 경제 주체가 느끼는 일자리 상황을 반영한 지표로 받아들여진다.
![]() |
김주원 기자 |
이는 지난달 청년층 실업률이 6%로 1년전과 같고, 청년 실업자 수는 23만명으로 오히려 1만6000명 줄었다는 '1월 고용동향'의 수치와는 결이 다르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체감실업률 악화는 안정적인 급여를 주는 양질의 일자리가 줄었기 때문이고, 잠재구직자·잠재취업가능자가 증가한 건 잇따라 구직에 실패한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고용시장에서 약자인 청년들이 느끼는 어려움이 더 컸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불완전 일자리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청년 시간관련 추가 취업가능자'가 대표적이다. 지난달 13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000명이 늘었다. 3년 11개월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들은 일단 취업자로 통계에 잡히지만, 고용보조지표에서는 '실업자'로 간주한다. 정규직 등 안정된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했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들이 생계 등을 위해 임시·단기 일자리에 뛰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서비스업 등에서 고용주가 해고 전에 일하는 시간 등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면 이 숫자가 늘곤 한다"며 "12월 계엄 이후 내수가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실업률과 달리 다른 고용지표인 청년층 고용률은 내림세다. 지난달 전년 대비 1.5% 포인트 하락한 44.8%를 기록했다. 2021년 1월(-2.9% 포인트)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이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고용률은 해당 나이의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계산한다. 통계청은 "청년이 구직을 포기하고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졌다는 설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이어졌던 내수 부진의 여파로, 소비와 연관성이 높은 업종 중심으로 일자리 사정이 악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
김주원 기자 |
다른 고용 지표도 빨간불이다. 1월 고용노동부 워크넷에 따르면 구인배수는 0.28까지 내려갔다. 외환위기 때인 1999년 1월(0.23) 이후 가장 낮다. 구직자는 47만9000명인데 구인 규모는 13만5000명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 10명 당 일자리가 2.8개 밖에 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지난해 1월에 비해 구직자는 6.5%밖에 줄지 않았지만, 구인 규모는 무려 43%(10만1000명) 줄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일자리도 7개월 연속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439만6000명으로 2013년(431만 6000명) 이후 1월 기준 12년 만에 최소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국 제조업은 중국의 저가공세와 미국의 공격적인 자국내 일자리 유치 전략으로 계속 어려워지고 있다"며 "일자리 정책 뿐만 아니라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이 절실하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잠재력이 있는 곳이 제조업"이라고 강조했다.
세종=김연주 기자 kim.yeonjoo@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