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V조선 방송화면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은 14일 직장 내 괴롭힘 관련 MBC 청문회 촉구 긴급 토론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에 고 오요안나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청문회 참여를 촉구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소희 의원실과 정책위원회에서 주최했는데,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등 여당 지도부도 다수 참석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고인이 여러 차례 고통을 호소했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MBC는 인지하고도 쉬쉬했다"며 "보도가 나오자 MBC는 'MBC를 흔드는 일을 우려한다'는 입장문을 냈다. 고인의 억울한 죽음 위로하고 사태를 해결하기는 커녕,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우리 당이 국회 차원의 청문회를 열어 진상규명을 철저히 하고 제도개선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며 "그런데 민주당 미온적 반응을 보이며 청문회를 반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사업자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중대재해법 만든 민주당이 조용하다. 친야 성향인 MBC 두둔을 위해 회피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든다"며 "더욱이 유족이 원하지 않는다는 거짓말까지 해댄다. 유족은 사건 진상 명명백백 밝혀지길 원한다고 밝혔다"고 강조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MBC는 자체조사를 했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며 "노동청에서 특별조사 들어간 걸로 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주당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조금만 자기 당에 이익이 된다고 하면 청문회를 수도 없이 했는데, 사회적 요청 있었음에도 거부하는 것은 MBC 의식하는 거 아니냐"며 "결국 MBC 는 민주당 편이다, 그래서 무조건 지켜줘야 한다는 이 못된 동지의식의 발로가 청문회 거부"라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근로자의 안위는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네편, 내편 갈라서 입법권 남용하고 행사하는 것은 결국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고 말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수가 방지 제도를 도입한 이후 증가해 1만2523건으로 20배 증가했다"며 "2019년도에 직장 내 괴롭힘 방지 제도 도입 이후 사회적 경각심 높아진 것 사실이지만, 여전히 부조리한 근무 환경이 있어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우리 당정은 이 사건 계기로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고오요안나법을 제정하기로 했다"며 "직장 내 괴롭힘 단 1회만으로도 신고 가능하게 하고 노동위원회의 판단 절차를 요구하는 재심이 담길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형동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는 "왜 노조를 하는지에 대한, 언론노조가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며 "과연 같은 공간에 있는 고 오요안나씨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언론노조가 뭘 했는지 되돌아보고 자성하길 바란다"고 했다.
그는 "민주당은 언제나 자기들이 노동자 보호에는 항상 앞장 선다 주장했는데, 이 사건에서만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청문회 개최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답이 없다"며 "하루속히 이 문제 사건 전모를 밝히고 제도 개선을 위한 청문회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주최자인 김소희 의원은 "오늘 토론회 참석 예정됐던 방송작가 대변하는 모 단체 토론회 불참 통보, 직장내 괴롭힘 119도 불참을 통보했다"며 "민주당이 청문회를 할 때까지 계속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한솔 기자(sunshinepark@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