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대 스토리텔링학과 박사과정 신재일 씨, 학위논문
정책 서사 교환 플랫폼 구축·관리 필요… 다방면 적용
정책 서사 교환 플랫폼 구축·관리 필요… 다방면 적용
'스토리'가 정부 정책의 입안과 성패를 예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정부가 추진하는 저출산 정책의 효과를 높이고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논문이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동의대학교 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박사과정 신재일 씨가 정부의 저출산 정책을 ‘이야기’로 분석한 논문이다. ‘생성기호학과 해석기호학 이론을 적용한 저출산 정책 서사의 분석 연구’라는 논문으로 김치용 대외협력원장(게임공학과 교수)’이 지도교수로 참여했다. 신 씨는 오는 2월 21일 박사학위를 받는다.
정부가 추진하는 저출산 정책의 효과를 높이고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논문이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동의대학교 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박사과정 신재일 씨가 정부의 저출산 정책을 ‘이야기’로 분석한 논문이다. ‘생성기호학과 해석기호학 이론을 적용한 저출산 정책 서사의 분석 연구’라는 논문으로 김치용 대외협력원장(게임공학과 교수)’이 지도교수로 참여했다. 신 씨는 오는 2월 21일 박사학위를 받는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 씨는 저출산 정책 스토리텔링의 서사가 미혼 여성들에게 인식되고 이야기되는 현상을 분석했다. 또 기존 저출산 가치관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정책을 통해 변화가 가능한지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의 실증은 공무원, 교사, 공기업 미혼 여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 미혼여성들은 저출산 원인과 해악 등의 담론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관심도 높았지만 이를 스토리텔링을 통해 본 기억은 거의 없었다.
이는 정책 스토리텔링은 실존하지만 아직 유의미한 정도에는 이르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연구는 앞으로는 이런 정책 서사가 교환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야기를 공공재라는 개념으로 관리하면 정책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신재일 씨는 “정부에서 저출산 정책을 전개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여직원들이 과연 얼마나 공감하고 있는지 궁금해졌다”라며 “정책은 혼자 인식하는 것보다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아야 의미를 갖게 된다는 생각에서 이번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치용 지도교수는 “신재일 씨는 공직생활로 얻은 유용한 지식을 국민에게 되돌려 줄 때 공직자로서 가치가 높아진다는 철학을 가진 훌륭한 공직자”라며 “이번 연구는 스토리텔링이 저출산 정책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책에 활용이 가능하다는 증명과 새로운 행정 정책연구의 실마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힘줬다.
경상북도 도청에서 오랜 기간 공직생활을 하며 내년 정년퇴직을 앞둔 신재일 씨는 한국산림문학회에 등단해 수필가로 글을 쓰며 스토리텔링에 흥미를 느껴 동의대 박사과정을 노크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