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금)

[단독] 北 "평양무인기 조사해달라" 유엔 산하 기구에 이례적 요청…"적반하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러시아 파병 후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에 직면한 북한이 지난해 평양 상공에 뜬 무인기를 놓고 유엔 산하 국제기구에 우리 정부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계엄 사태와 무인기의 연관성에 대해 여러 의혹이 나오는 틈새를 파고든 걸로 보이는데,

이채현 기자가 단독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북한은 한국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서 전단을 살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방성 대변인 담화 (작년 10월)
"한국 군부 세력이 가담한 것으로 판단하고있으며"

우리 군은 그동안 확인해줄 수 없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는데, 북한이 최근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에 우리 정부를 상대로 한 진상조사를 요청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은 "지난주 국가안전보장회의 NSC의 비공개 회의 중 관련 대책이 논의된 걸로 안다"며 "그동안 수차례 무인기 도발을 감행해 온 장본인이 적반하장식 대응을 한 셈"이라고 전했습니다.

유엔 산하의 ICAO는 민간항공기 수송체계를 조율하는 기구로 항공 위험요소가 있으면 관련 조사도 진행합니다.

1987년 KAL기 폭파사건과 1998년 대포동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에 규탄 결의를 발표했고, 2022년 북한 무인기의 서울 침투 땐 우리 정부가 ICAO에 조사 요청을 검토한 바 있는데, 북한의 조사 요청은 처음입니다.

조사 여부는 ICAO 사무국이 결정하고, 필요할 경우 조사단 파견도 가능합니다.

신희석 /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법률분석관
"우리도 거꾸로 북한의 무인기나, KAL기 사건 재조사를 요구해야 " 되는 게 아닌가"

한국내 탄핵 정국을 활용하기 위한 북한의 노림수란 관측도 나옵니다.

TV조선 이채현입니다.

이채현 기자(lee229@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