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늦어지는 최상목-트럼프 통화…"외교부 통해 미국에 제안"

서울맑음 / 13.5 °
정부 "추경, 여야합의가 제일 중요"
"국정협의회 일정만 잡히면 참석"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인사가 늦어지고 있다. 최 대행 측은 외교부를 통해 미국 측에 통화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영규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10일 기자들과 만나 최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에 대해 “외교부를 통해 오퍼(제안)를 넣어둔 상태”라며 “그쪽(미국) 사정에 따라 연락이 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 측에) 리마인드(상기)를 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 20일이 다 돼 가지만 최 대행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과 인사하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 집권했던 2017년에도 한국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이었지만 황교안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9일 후에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

최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과 ‘유선 상견례’가 늦어지며 북핵 문제 등에서 한국이 배제되는 ‘코리아 패싱’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지난주 미국을 방문, 트럼프 대통령과 북핵 문제, 무역 불균형 해소를 논의하며 관계를 과시했다.

반도체법 등 핵심 법안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논의할 여·야·정 국정협의회에 대해 강 대변인은 “정부 측은 일정만 잡히면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정은 당초 이번 주 최 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여하는 국정협의회를 가동하려 했으나 반도체법상 ‘주 52시간 근무 예외 적용’ 특례 조항 등을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개최가 연기됐다.

강 대변인은 이 대표가 이날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제안한 30조 원 규모 추경 편성에 대해서도 “여야 합의가 제일 중요하다”며 “여·야·정 협의체(국정협의회)를 빨리 열어서 논의되길 바란다”고 했다. 최 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이 대표 연설을 청취했으나 현안에 별다른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