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7 (목)

딥시크에 김치 원산지 물었더니…"한국 아닌 중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가 무차별적인 개인정보 수집에 이어 정보까지 왜곡한다는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같은 질문인데도 질문하는 언어에 따라 다른 답변을 하고 있는 건데요. 김치 원산지가 어딘지 중국어로 묻자 황당한 답변이 나왔습니다. 국정원이 이례적으로 자료를 내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오현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스타트업이 만든 생성형 AI 딥시크에 중국어로 김치의 원산지가 어느나라인지 물었더니 중국이라는 답이 돌아옵니다.

다시 한국어로 묻자 이번에는 한국이라고 답합니다.

국정원은 "동북공정과 김치, 단오절 등을 질문하면 언어별로 답변이 달랐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통제하에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는 답변을 하지 않거나 정보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김기응/국가AI연구거점 센터장
"사후 트레이닝을 통해서 그 가치를 중국 기준에 맞췄으면은 만약에 김치라고 답변이 나오는데 이거를 파오차이로 바꿨었을 수도 있고요."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 국영통신사 차이나 모바일에 전송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된 상황입니다.

우리 정부부처와 기업들은 잇따라 딥시크 금지령을 내리고 있습니다.

이 여파로 딥시크 하루 사용자수는 지난달 28일 19만명을 넘어 정점을 찍은 뒤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나온 4일, 7만명대로 60%넘게 줄었습니다.

앱 신규 설치도 8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개인정보위원회는 1분기안에 생성형 AI 사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TV조선 오현주입니다.

오현주 기자(ohj322@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