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가수 현숙, 故 송대관, 배일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OSEN=연휘선, 하수정 기자] 트로트계 큰별 고(故) 송대관이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한 가운데, 가요계 후배들이 애도의 마음을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가요계에 따르면, 오늘(7일) 송대관은 입원 중이던 병원에서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8세.
이날 송대관 측 관계자는 OSEN에 "송대관 선생님이 오늘 오전 10시께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셨다"며 무거운 목소리로 사망을 공식 발표했다.
이어 "선생님께 평소 지병이나 기저질환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다만 최근 컨디션이 좋지 않다고 하시면서 병원에 입원했다. 그러던 중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셨다"며 "현재 자세한 입장문을 준비 중에 있다. 장례 절차 또한 준비 중으로 선생님 마지막을 예우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대관의 비보에 후배 가수 현숙은 OSEN과의 인터뷰에서 "송대관 오빠는 항상 따뜻한 분이다. 만나면 그렇게 등을 두들겨 주시면서 '열심히 하자'고 해주셨는데 그게 그렇게 힘이 될 수가 없었다. 그런 분이 이렇게 갑자기 가셨다고 하니 소식을 듣고 너무 황망해서 눈물을 한참 쏟았다"며 입을 열었다.
현숙은 고인에 대해 "오빠는 굉장히 자존심이 강한 분이었다. 그런데 그 자존심으로 우리 가수들 자존심을 지켜줄 줄 알는 분이었다. 가요계에 큰 버팀목 같은 분이고 소나무 같은 사람이었다"며 "특히 경조사를 그렇게 잘 챙기셨다. 행사가 전국 각지에 있다 보니 빈소에 제 때 찾기 힘든 경우가 많은데 어느 곳에도 송대관 오빠는 직접 와서 인사를 해주셨다. 지난해 현철 오빠 가셨을 때도 빈소를 지키셨던 분이지 않나. 좋은 일도, 슬픈 일도. 꽃만 보내는 일 없이 무조건 얼굴을 비추고 인사해주고 오는 사람들과 인사하셨던 분이데 그런 분이 가셨다고 하니 많이 울게 되더라"고 털어놨다.
무엇보다 현숙은 "그만큼 최선을 다해서 사신 분이셨다. 가요계 자존심도 지키고 바른 말 잘하시고. 항상 후배들, 동생들 보면 등이며 어깨를 두들겨 주시는데 어느날부터 오빠 어깨가 축 쳐지고 조금 야위어가는 얼굴이 보였다. 조금 속상하기도 했다. 행사가 많을 때는 부모, 형제보다 자주 봤다. 독일도 브라질 공연도 함께 갔는데.."라며 더는 말을 잇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태진아 오빠와 콤비로 큰 사랑 받으시지 않았나. 두 분이 함께 있어야 빛나는 부분도 있었는데 너무 안타깝다. 그렇게 어느 때고 주변 사람들을 편하게 빛나게 해주셨던 분이다. 지금은 빈소가 준비 중이라고 들었다. 오늘이고 내일이고 가서 마지막을 배웅하고 싶다"며 울컥한 목소리를 드러냈다.
![]() |
또 다른 후배 배일호도 터져나오는 슬픔을 누른 채 고인을 애도했다.
그는 OSEN과의 통화에서 "송대관 씨 소식을 접하고 너무 허무하고 황당하다. 워낙 가깝게 지내던 분이고, 직계 후배로서 늘 감사하고 고마운 선배다. 이렇게 황망하게 가신다는 게 너무 안타깝고 그렇다"며 "그 분이 살아오시면서 곁에서 지켜보면 늘 바쁘시기만 했지 본인이 행복한 시간을 많이 못 봐 안쓰럽다"며 "아침께 소식을 듣고 오후가 다 되도록 밥도 안 넘어가더라"며 비통함을 내비쳤다.
또한 "최근에 전화를 드렸는데 한 번 안 받으신 적이 있다. 설연휴에 인사 드리려고 연락을 드렸는데 전화가 연결이 안 됐다. 그 때는 바쁘신 일이 있나 싶었는데, 생각해 보니 나중에라도 꼭 연락을 주셨던 분인데 전화가 돌아온 기억이 없다. 그리고 이렇게 갑자기 가시게 돼서 너무 황망하다. 꿈인가 생시인가 싶다"며 크게 슬퍼했다.
배일호는 "부디 좋은 곳에 가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마음 졸이며 살아온 세월도 있으신데 그저 다 잊고 편안하게 가셨으면 좋겠다. 가시면 고 현철 선배도 계시고 송해 선생님도 계시니까 좋은 분들 만나면서 편히 쉬셨으면 좋겠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고 송대관의 빈소는 서울대학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고, 입관은 오는 8일 오후 1시 30분, 발인은 9일 오전 11시다.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이다.
한편 송대관은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가요계에 데뷔했고, 이후 1975년 발표한 '해뜰날'을 시작으로 '네박자', '유행가', '차표 한 장' 등의 메가 히트곡을 내놓으며 큰 인기를 끌었다. 고 현철, 태진아, 설운도 등과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리며 국민가수로 사랑 받았다.
/ hsjssu@osen.co.kr
[사진] OSEN DB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