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윤석열 대통령은 일단 탄핵이란 급한 불은 끄게 됐습니다.
◀ 앵커 ▶
하지만 야권의 압박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구승은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대통령실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네, 대통령실은 탄핵이라는 최대 고비를 넘기면서 일단 안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무거운 분위기입니다.
대통령실은 탄핵 불발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고, 야당이 탄핵을 매주 재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데 대해서도 침묵했는데요.
언론과의 접촉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임기단축 개헌이나 책임총리제, 거국내각 구성 같은 방안이 정부·여당을 중심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한동훈 대표가 하야를 전격적으로 요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논의가 순탄할 것 같진 않습니다.
야당을 겨냥해 위헌적인 비상계엄을 선포했고 수습 과정에서도 야당을 아예 배제한 상황이라, 야당 협조를 기대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계엄 사태 이후 국정 지지율은 급락했고, 탄핵안 무산 뒤 들끓는 민심을 잠재우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검찰과 경찰, 공수처까지 계엄 사태에 대한 내란죄 혐의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당분간 한덕수 총리와 대통령실 참모진을 중심으로 내부 회의를 이어갈 예정이며, 공개활동은 자제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구승은 기자(gugiza@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윤석열 대통령은 일단 탄핵이란 급한 불은 끄게 됐습니다.
◀ 앵커 ▶
하지만 야권의 압박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구승은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대통령실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 기자 ▶
네, 대통령실은 탄핵이라는 최대 고비를 넘기면서 일단 안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무거운 분위기입니다.
대통령실은 탄핵 불발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고, 야당이 탄핵을 매주 재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데 대해서도 침묵했는데요.
언론과의 접촉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어제 윤 대통령이 담화에서 "임기를 포함한 정국 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하겠다"고 한 만큼 '질서 있는 퇴진'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임기단축 개헌이나 책임총리제, 거국내각 구성 같은 방안이 정부·여당을 중심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한동훈 대표가 하야를 전격적으로 요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논의가 순탄할 것 같진 않습니다.
윤 대통령은 앞선 담화에서 '우리 당', 즉 국민의힘만 언급했을 뿐 국정 파트너인 야당 언급은 전혀 없었습니다.
야당을 겨냥해 위헌적인 비상계엄을 선포했고 수습 과정에서도 야당을 아예 배제한 상황이라, 야당 협조를 기대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계엄 사태 이후 국정 지지율은 급락했고, 탄핵안 무산 뒤 들끓는 민심을 잠재우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검찰과 경찰, 공수처까지 계엄 사태에 대한 내란죄 혐의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야당은 탄핵안을 '반복적으로, 될 때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어서, 정치권 안팎의 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윤 대통령은 당분간 한덕수 총리와 대통령실 참모진을 중심으로 내부 회의를 이어갈 예정이며, 공개활동은 자제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구승은 기자(gugiza@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