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RI·IITP·통신학회, S6GC 통신 심포지엄 제주서 개최
ETRI 연구진이 6G 초공간 기술 선도를 위한 위성통신기술을 연구하고 있다.[ETRI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6G 이동통신 관련 산·학·연·관이 총출동하는 최대 학술행사가 마련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및 한국통신학회와 공동으로 16일부터 이틀간 제주 라마다플라자 호텔에서 국제 학술행사인 '6G 통신 심포지엄(S6GC)'을 개최한다.
S6GC는 6G 기술 전 분야에 대한 학술 교류와 함께 과기정통부의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기술 개발 사업 추진 현황 및 기존 학·연 주도의 국책과제에서 발굴된 6G 핵심기술 등 주요 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다.
6G 관련 산·학·연·관의 기술 공유와 협력을 목표로 하는 행사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통신학회가 주최하는 국제 통신 컨퍼런스 'ICTC 2024' 행사 내 특별 트랙으로 진행되며, 총 115편의 논문 및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16일 오전에는 ‘6G 전파 및 부품’ 세션과 ‘6G 비지상 네트워크’ 세션이 병행으로 시작되며, 이어지는 오후에는 공식 오프닝 세션이 열린다.
이날 행사에는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의 개회사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네트워크정책실장 및 한국통신학회 정성호 회장의 축사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캐나다 오타와대의 멜리크 에롤 칸타르치 교수와 미국 노키아 벨랩의 드라간 사마르디지아 연구소장이 6G 기술 관련 기조연설을 맡는다.
17일에는 ETRI 주관 ‘6G 원천기술 페스티벌’ 세션, IITP 주관 ‘6G를 대비하는 무선통신 기술’, ‘6G 상용화 연구개발’ 세션, ‘6G 무선접속망’ 세션, ‘6G 모바일 코어’ 세션 및 2개의 포스터 세션 등 다양한 발표가 진행된다.
6G 원천기술 페스티벌은 6G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2022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이번이 두 번째 행사다.
이번 페스티벌의 최우수상은 ‘초실감.고정밀 응용 지원을 위한 성능맞춤형 프로그래머블 단말 네트워크 기술’을 제안한 ETRI 홍승우 책임연구원이 수상한다.
우수상은 ETRI 강현식 책임연구원, 조원철 연구원, 고려대학교 성재협 박사과정이 제안한 기술이 선정되었다.
IITP 주관의 ‘6G를 대비하는 무선통신 기술’ 세션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기술 분야 주요 사업 내 학계 주도의 6G 국제 표준화 후보 아이템 중심 과제들의 연구 성과를 공유한다.
성과 창출을 위해 연구자·수요자가 함께 토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긍정 환류(Positive Feedback) 체계 마련의 목적도 포함되어 주목되는 세션이다.
6G 상용화 연구개발 세션에서는 올해부터 시작된 6G 산업 기술 개발 과제를 소개한다.
ETRI 연구진이 6G 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메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ETRI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세션에서는 IITP의 최성호 통신네트워크 PM이 ‘한국의 6G R&D 전략과 과제 전망’을 발표하고, 이어 ‘중상위 대역 이-미모(E-MIMO)’와 ‘6G에서 AI-RAN의 잠재력’등 주요 과제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6G 이동통신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1년부터 6G 원천기술 연구개발을 추진해왔다”며 “올해부터 향후 5년간 4400억 원 규모의 6G 산업화 기술개발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진배 IITP 원장은 “이 자리에서 논의된 R&D 성과와 아이디어들이 한국과 세계의 6G 연구와 표준화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도 “이번 S6GC 학술행사는 단순한 기술 교류의 장을 넘어, 한국의 6G 연구개발 방향성을 설정하고 혁신을 위한 협력의 길을 모색하는 전략적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