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대 노년층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가능성 커져
조기에 제균 치료할수록 장‧뇌 건강 모두에 도움
[출처 : 123RF.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에 따른 위궤양이 치매 발병 위험을 3배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헬리코박터균의 적극적인 제균 치료가 위암 예방뿐만 아니라 치매 발생률까지 낮추는 것이다. 특히 조기에 제균할수록 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동우 교수(제1저자),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임현국 교수(교신저자)팀은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강동우 교수는 "발효 음식이나 매운 맛을 즐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식습관이 위점막을 자극해서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높일 수 있다"며 "최근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감염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장뿐만 아니라 뇌 건강을 위해서도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노화학회 공식 학술지인 'Geroscience' 최근호에 게재됐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궤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균으로, 위와 십이지장 점막에 서식한다.
아울러 뇌혈관과 신경세포 사이에 있는 이중장벽인 '혈관뇌장벽’을 통과해서 뇌 속에 신경염증을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인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침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
특히 헬리코박터균 감염에 따른 위궤양은 신경세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고, 장내균총(microbiome)에 변화를 일으켜서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서 55~79세의 4만7628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 여부에 따른 치매 발병 위험도를 연령 분포별로 각각 5년‧10년째에 추적 관찰해서 평가했다.
그 결과 위궤양 환자는 건강 대조군과 비교 시 △고혈압 △당뇨병 △허혈성 심질환 △고지혈증 같은 치매 위험 인자를 통제한 뒤에도 전반적인 치매 발병 위험도가 약 3배 높았다.
연령별 세부 분석 결과에선 60‧70대의 알츠하이머병에 따른 치매 발병 위험도가 증가했다.
이어 연구팀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제균 치료가 위암 발병 위험을 낮춘다는 기존 연구 결과에 주목, 제균 치료 시기와 치매 위험도도 평가했다.
세부적으로는 위궤양 진단 후 6개월 내에 제균 치료를 시작한 '조기 제균 치료군’과 1년 후에 제균 치료를 시작한 '지연 제균 치료군’을 5년‧10년 추적 관찰해서 치매 관련 위험 요인을 통제한 뒤 치매 발병 위험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제균 치료가 지연된 군은 제때 치료를 시작한 군과 비교 시 치매 발병 위험도가 2배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임현국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감염성 위장 질환과 치매 발병의 연관성을 규명한 첫 걸음"이라며 "위장관 건강과 신경 건강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치매 예방 및 치료 전략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 우리나라 성인의 50~60% 이상이 감염된 것으로 추산한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예방하려면 △양배추 △브로콜리 △사과 등 위장 건강에 좋은 음식을 챙기고, 담배‧술‧과식 등 나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는 주로 항생제와 위산 억제제 복용으로 진행한다. 치료 후 균이 완전히 제거됐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재발할 수 있어서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저작권자 Copyright ⓒ 힐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