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EU 전기차 관세에 中 보복 예고…獨 "러 지원 관계 악화 초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과 독일이 22일 고위급 회담을 통해 최근 유럽연합(EU)에 판매되는 중국 전기차에 대한 EU의 고율관세 부과 문제 등을 논의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아시아경제

방중 중인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가 22일 정산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주임과 공동으로 중국 독일 간 기후변화 녹색전환에 관한 제1차 고위급 대화를 주재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는 이날 오전 베이징에서 정산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주임과 공동으로 중국 독일 간 기후변화 녹색전환에 관한 제1차 고위급 대화를 주재했다.

하베크 부총리는 EU가 중국 전기차에 대해 최대 48%에 이르는 관세 인상 계획을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 유럽 고위급 관료다.

이번 회담에서 중국은 EU 관세 부과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중국 정부가 단호한 대응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정산제 주임은 "EU의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은 남에게 해를 끼칠 뿐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중국은 중국기업의 합법적인 권익 보호를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중국 신에너지 산업 발전은 기술, 시장, 산업 시스템 등 포괄적 우위의 결과"라면서 "외국 브랜드들도 '보조금' 때문이 아니라 중국의 우수한 시스템과 숙련된 노동시장 등의 이유로 대중국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하베크 부총리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하는 것을 지적하는 한편 중국과 대화할 의향이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

독일은 유럽 최대의 자동차 생산국으로, 그간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 결정에 상대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러나 이번 회담에서는 EU의 관세 부과 조치로 자국 업체들이 입게 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하베크 부총리는 고위급 대화 개막식 연설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하는 것이 베를린과 베이징 간의 경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 "미국, 튀르키예, 브라질이 부과한 것처럼 포괄적이고 징벌적 부과금이 아니라 9개월 동안 면밀히 검토된 차별화된 관세"라며 불가피성을 강조하면서 EU가 중국과 대화할 의향이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EU의 이번 관세 부과 조치는 다음 달 4일부터 적용되나, 완전히 확정되려면 오는 11월까지 27개 회원국의 가중다수결 투표를 통해 가결돼야 한다.

이와 관련, 하베크 부총리는 성명을 통해 "11월까지는 EU와 중국이 논의할 시간이 있다"며 "협상이 가능한 국면이 열리게 되면 토론과 대화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