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라건아 딜레마'는 KBL의 '선택적 공정'이 빚은 참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트랜스젠더의 여자부 경기 출전 논란에 이은 스포츠 공정 시리즈 2탄이다. KBL은 17일 이사회를 열고 특별귀화 농구선수 라건아(KCC)의 신분을 다음 시즌에도 여전히 외국선수로 결정했다.

미국 출신 파워 포워드인 라건아는 2018년 한국 국적을 취득한 뒤 태극마크를 달았다. 당시 누구도 그의 대표팀 합류를 반대한 이는 없었다. 이미 2015년에 케냐 출신 마라토너 오주한(윌슨 로야나에 에루페)의 특별귀화 신청으로 순혈주의에 대한 내홍을 심하게 겪은 뒤였다. 결국 오주한은 라건아와 같은 해인 2018년 대한체육회의 승인을 얻어 귀화에 성공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2024.05.17 zangpabo@newspim.com


1m99에 110kg의 큰 체격이지만 흑인 특유의 고무공 같은 탄력을 자랑하는 라건아는 현란한 드리블과 정확한 슈팅, 골밑 장악 능력까지 겸비한 팔방미인으로 대표팀으로선 천군만마를 얻은 격이었다.

그러나 라건아는 국가대표 선수로 뛰면서도 프로 무대에선 외국선수로 분류되는 역차별을 받아왔다. 전성기 시절 외국선수 가운데서도 최고의 기량을 자랑한 그가 국내선수가 될 경우 팀 간 극심한 전력 불균형이 생기는 생태계 교란이 일어난다는 이유에서다.

선수단 연봉 총액 제한인 샐러리캡이 있는 현실에서 라건아를 영입한 구단은 그에게 외국선수보다 비싼 몸값을 치러야 하는 것도 문제였다. 라건아가 국내선수가 되면 다른 외국선수와 나눠 받던 출전 시간제한도 사라진다.

결국 KBL과 각 구단은 삼척동자가 봐도 이상하지만, 문제를 방치한 채 여태 시간만 끌어왔다. 이는 역시 귀화선수로 국가대표로 활약했던 문태종, 문태영, 이승준, 전태풍 같은 하프코리안 출신들과는 전혀 다른 대우였다.

물론 라건아가 완전히 차별만 받은 것은 아니다. 그는 대표팀에 차출되면서 농구협회로터 별도 수당을 받는 조건으로 태극마크를 달긴 했다. 그럼에도 농구계가 라건아를 진정한 한국인으로 인정해주기보다는 필요할 때만 '대표팀 용병'으로 이용해왔다는 불편한 진실은 감출 수 없다.

KBL과 각 구단은 지난 2월로 만 35세가 된 라건아의 기량이 쇠퇴했다면 이제라도 원칙을 지키는 척하며 그에게 국내선수 자격을 줬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라건아는 지난 시즌에도 알리제 드숀 존슨을 제치고 KCC의 첫 번째 외국 선수로 활약했다. 플레이오프 12경기에선 평균 22득점, 12.3리바운드를 기록했다. 그는 서장훈, 김주성 등을 제치고 통산 리바운드, 플레이오프 최다 출장과 득점 1위 등 온갖 기록을 다 갈아치웠다.

이에 따라 라건아는 선수의 국적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일본 B리그로 진출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라건아는 일본에서 뛸 경우 한국 국적 선수로서 아시아쿼터를 받게 돼 희소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 한국 농구는 많은 팬을 확보한 훌륭한 선수를 잃게 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2024.05.17 zangpabo@newspim.com


국내 농구계가 이처럼 외국선수에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다른 종목에 비해 기량차가 워낙 크게 나기 때문이다. 농구는 최우수선수를 외국선수와 국내선수(아시아 쿼터 포함)를 따로 나눠 각각 정한다. 출전 제한을 두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외국선수들의 독무대가 될 것이다. 이에 비해 야구 축구 등은 외국선수에 대한 보유 인원 제한만 있지 다른 차별은 없다.

결국 '라건아 딜레마'는 세계 스포츠계의 본류인 글로벌리즘과 전력 불균형을 걱정한 한국 농구계의 지류가 상충하면서 생겨난 문제이다.

라건아가 늙어서 기량이 쇠퇴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해답이 아니다. 라건아라는 '메기'를 연못에 방류하면 처음엔 진흙탕 혼란이 일어날지 모르겠지만, 시장은 언제나처럼 자정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게 기자의 생각이다. 문제가 생기면, 시장은 스스로 대책을 찾게 된다. 그동안 인류의 역사가 이를 증명해왔다.

무엇보다 라건아는 한때 '리카도 프레스턴 래틀리프'로 불렸지만, 이제 그의 본관은 용인 나 씨이다. KBL은 예전엔 한국프로농구연맹이란 한글 명칭을 병기했다. 글로벌 시대에 발맞춘 것인지는 몰라도 이제는 영문명만 쓰고 있지 않은가. '선택적 공정'은 공정이 아니다.

zangpabo@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