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올랐다.
2일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3월 두달 연속으로 3.1%를 기록하다, 석달 만에 2%대로 내려왔다.
상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10.6% 상승하며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축산물(0.3%), 수산물(0.4%)은 안정적 흐름을 보였지만 농산물이 20.3% 증가했다. 농산물은 전체 물가상승률을 0.76%포인트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외식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물가도 0.95%포인트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동 리스크 속에 석유류 가격도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물가상승률 기여도는 0.05%포인트에 머물렀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중동 정세가 불안정했는데 석유류 가격이 생각보다는 많이 오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수들은 2%대 초반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 오르면서 전달(2.4%)보다 0.2%포인트 상승률이 낮아졌다.
물가가 3% 밑으로 떨어졌지만, 생활물가지수는 3.5%로 높게 나타났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보다는 3.7% 하락했지만, 지난해 동월 대비로는 19.1% 오르면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신선채소가 12.9% 올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사과(80.8%)와 배(102.9%)를 중심으로 신선과실은 38.7% 상승하면서 3월(40.9%)에 이어 40% 안팎의 오름세를 유지했다. 특히 배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75년 1월 이후로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다만, 4∼6월은 사과, 배의 소비가 연 소비량의 5% 내외 수준으로, 소비자들이 즐겨찾는 품목이 아니라는게 정부 설명이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