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 통계청이 '3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한 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근원물가가 안정세를 보였지만 농산물과 국제유가 인상분이 물가를 끌어올렸다.
특히 사과와 배 가격은 급등세를 이어갔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들의 부담이 해소되지 않아 마음이 무겁다"고 했다. 정부는 물가가 정점을 찍은 것으로 판단하면서도 장바구니 물가 대응에 나섰다. 물가 대응의 초점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과일값이다.
━
사과 88.2%, 배 87.8% 상승…윤석열 대통령 "마음 무겁다"
━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4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1% 상승한 113.94로 집계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2.8%를 기록하며 6개월 만에 2%대로 진입했지만 지난 2월(3.1%)부터 다시 3%대를 기록 중이다.
계절적인 요인과 일시적인 충격을 배제한 근원물가는 안정세를 유지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방식의 근원 물가지수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4%를 기록하며 전월(2.5%)보다 소폭 하락했다. 농산물석유류제외지수 상승률 역시 한 달 사이에 2.6%에서 2.4%로 떨어졌다.
하지만 과일 등 농산물 가격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농산물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5% 올랐다. 신선과실의 물가 상승률은 40.9%다. 과일값 급등세의 핵심으로 꼽히는 사과(88.2%)와 배(87.8%)는 관련 물가 조사가 시작된 1980년 1월, 1975년 1월 이후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
정부는 과일 물가가 체감보다 더 높게 형성됐다고 설명한다. 통계청 조사에는 정부의 할인 지원이 전부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과일류 소비자 체감가격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며 "현장에서 뵙는 소비자들의 말씀으로 체감물가는 보다 낮아지고 있다고들 하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4년도 제15회 국무회의에 참석해 모두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4.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국민들께서 느끼는 물가 수준이 결코 낮지 않다"고 언급한 것처럼 전반적인 체감 물가는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체감물가라고 할 수 있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8% 상승하며 전체 상승률을 웃돌았다.
━
정부,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 무제한·무기한 투입
━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장바구니 물가를 낮추기 위해 1500억원 이상의 납품단가, 할인판매 지원과 같은 특단의 조치를 실시하고 있지만 국민들의 부담이 해소되지 않아 마음이 무겁다"며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때까지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을 무제한, 무기한으로 투입하고 지원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대책의 효과가 나타난 품목도 있다. 망고 가격은 수입과일 확대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4% 떨어졌다. 마늘(-11.1%), 양파(-10.5%) 등 채소도 가격이 내려갔다. 정치적 공방의 대상이 됐던 파는 가격이 23.4% 올랐지만, 올해 1~2월에 50.1~60.8%까지 올랐던 것을 감안하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물가당국은 향후 물가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등 불확실성은 남는다. 석유류 가격만 하더라도 지난달에 1.2% 상승하며 13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한국은행은 "당분간 매끄럽지 않은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2%대 물가에 조속히 안착되도록 적극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농축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 구조적인 대응에도 나선다. 최 부총리는 "3월에 연간 물가의 정점을 찍고 하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박종진 기자 free21@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