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팜 다보스포럼 ‘불평등 주식회사’ 보고서
전세계 억만장자 자산 지난 3년 동안 34% 증가
상위 1% 부자가 전세계 금융자산의 43% 차지
저소득 국가 노동자는 부채와 이자 갚는데 급급
8억 노동자 임금 물가상승률 못따라가 2천조 잃어
“빈곤 230년간 근절 어려워...분열의 10년 시작”
전세계 억만장자 자산 지난 3년 동안 34% 증가
상위 1% 부자가 전세계 금융자산의 43% 차지
저소득 국가 노동자는 부채와 이자 갚는데 급급
8억 노동자 임금 물가상승률 못따라가 2천조 잃어
“빈곤 230년간 근절 어려워...분열의 10년 시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 팬데믹 3년간 전세계 5대 부자의 자산은 두 배 이상 늘었지만, 약 50억명 이상의 사람들은 더 가난해져서 빈부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 대로라면 앞으로 10년 안에 세계에서 첫 조만장자가 탄생하고, 빈곤은 230년간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도 나왔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Oxfam)은 15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 연례회의 ‘다보스포럼’의 개막에 맞춰 발표한 ‘불평등 주식회사’ 보고서에서 세계 자산 상위 5명의 자산은 2020년 4050억달러(약 532조6000억원)에서 2023년 11월 8690억 달러(약 1142조7000억원)로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의 자산은 시간당 1400만 달러(약 184억1000만원)씩 증가한 셈이다.
아미타브 베하르 옥스팜 임시 총재는 “억만장자들의 자산이 급증하는 동안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팬데믹, 인플레이션, 전쟁에 따른 경제적 충격파를 짊어지게 되면서 우리는 10년간의 분열의 시작을 목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불평등은 우연이 아니다. 억만장자 계층은 기업들이 다른 모든 사람을 희생시키면서 그들에게 더 많은 부를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 억만장자의 자산은 같은 기간 34% 증가해 3조3000억달러(약 4339조5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물가 상승률보다 3배 빠른 속도다.
금융 자산만 따로 살펴보면 상위 1% 부자들은 전 세계 금융자산의 4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에서는 이들이 금융자산의 50%를 보유하고 있다. 중동과 유럽에서는 각각 48%, 47%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전 세계 상위 148개 기업의 2023년 상반기까지 순이익은 총 1조8000억달러(약 2369조 원)로, 앞선 4개년 평균 순이익보다 52% 증가했다.
하지만 이같이 창출된 부의 배분은 불평등하게 이뤄져 부익부 빈익빈은 더 심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까지 96개 글로벌 대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의 82%가 ‘슈퍼리치’ 대주주들에게 배분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600개 글로벌 대기업 중 0.4%만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보다 인간다운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최저임금 이상의 소득 수준을 보장하는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별로 따지면 노르웨이 등 북반구 국가들의 인구수는 전 세계 인구의 21%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 개인 자산의 69%를 차지하고 있다. 글로벌 억만장자의 자산 74%가 이 지역에 집중돼 있다.
반면 저소득 국가와 중하위 소득 국가들은 2029년까지 매일 약 5억달러(약 6575억원) 규모의 이자와 부채 상환금을 갚아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전 세계 노동자 7억9100만명의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해 지난 2년간 1조5000억달러(약 1972조5000억원)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자 1인당 약 한 달(25일) 치의 임금을 잃은 셈이다.
특히 여성은 임금과 고용 안정성이 가장 낮은 일자리에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 2019년 기준 여성 노동자는 남성 노동자가 1달러를 버는 동안 51센트를 버는 데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이런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고경영자 급여 상한선 적용, 초과이윤세 및 부유세 부과. 생활임금 보장, 의료·교육 등에 대한 접근성 보장, 독점 타파와 특허 규정 민주화 등을 제시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