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기준 투자 집행이 이뤄지지 않은 벤처펀드 자금이 10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5000억원 감소하는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2조5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정부가 펀드 조기투자를 위해 인센티브 등 대책을 내놨지만 투자시장의 '돈맥경화'를 해소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벤처캐피탈(VC)들이 결성한 펀드 중 미투자된 자금(드라이파우더)은 10조8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펀드의 미투자 자금은 △2020년 말 7조1000억원 △2021년 말 8조2000억원 △2022년 상반기 8조3000억원으로 완만하게 증가해오다 금리인상이 본격화된 △2022년 말 11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신규 벤처펀드 결성금액이 4조5951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8조6092억원)보다 46.6% 급감했지만 벤처투자 역시 살아나지 않으면서 미투자 자금은 5000억원 줄어드는 데 그쳤다.
스타트업 업계 관계자는 "투자혹한기라는 말이 실제 유동성이 부족은 아닌 것"이라며 "풍부한 유동성이 스타트업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돈맥경화 해소를 위해 마련한 투자촉진 인센티브 등도 결과적으로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모습이다. 중기부는 지난해 11월 '역동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 방안'을 통해 모태펀드 출자를 받은 벤처펀드가 결성일로부터 1년 내 40% 이상의 자금을 투자하는 경우 초과분의 1%를 관리보수로 추가 지급하고 성과보수 지급기준을 0.5%포인트 하향하는 등 인센티브를 적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투자업계 현장에서는 이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 벤처캐피탈(VC) 심사역은 "금융시장 뿐 아니라 실물경기도 위축되면서 스타트업이 경영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1%포인트의 관리보수 인센티브 등 때문에 투자 전략을 바꾼 심사역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 사이 스타트업 업계는 자금부족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메쉬코리아, 왓챠 등을 시작으로 올해는 그린랩스, 뱅크샐러드, 정육각, 클래스101 등 예비 유니콘급 기업들도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이 관계자는 "대부분 위기에 빠진 스타트업들은 사업모델에 문제가 있었다"면서도 "다만 일부 스타트업에는 구제금융 성격의 투자가 이뤄졌으면 심각한 위기까지는 겪지 않았을 것이란 아쉬움도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상황이 급반전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고금리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올해 3분기 벤처투자 자체 집계액이 2조626억원으로 전년동기 집계액(1조9276억원)보다 7% 증가하는데 그쳤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고금리 등 거시경제 악화가 이어질 경우 투자혹한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