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포환던지기에서는 이수정, 정유선 입상 실패
![]() |
김태희, 한국 육상 사상 첫 아시안게임 여자 해머던지기 메달리스트 |
(항저우=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김태희(18·이리공고)가 한국 육상 여자 해머던지기 사상 처음으로 아시안게임 시상대 위에 올랐다.
김태희는 29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주경기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해머던지기 결선에서 64m14를 던져 3위에 올랐다.
처음 성인 국제대회에 나선 김태희는 주눅 들지 않고, 강나루가 2012년에 세운 한국 기록 63m80을 11년 만에 34㎝ 넘어선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이날 경기에서는 도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왕정(중국)이 71m53으로 우승했고, 자오제(중국)가 69m44로 2위에 올랐다.
김태희는 1∼6차 시기까지 주어진 기회에서 5차 시기에 64m14을 던져 여우야젠(대만)을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여우야젠의 기록은 63m21이었다.
한국 선수가 아시안게임 여자 해머던지기에서 메달을 딴 건 김태희가 처음이다.
![]() |
고교생 김태희, 아시안게임 여자 해머던지기 동메달 |
중학교 시절 원반던지기 선수였던 김태희는 고교 1학년인 2021년 해머던지기에 입문했고, 지난해부터 전국육상대회 해머던지기 경기에 출전했다.
짧은 시간에 김태희는 한국 여자 해머던지기 현역 최고로 올라섰다.
2022년 10월 쿠웨이트에서 벌인 아시아청소년선수권(18세 미만) 여자 해머던지기(3㎏)에서 59m24로 우승한 김태희는 올해 20세 미만 아시아주니어선수권에서 3위에 올랐고, 올해 9월에 열리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로도 선발됐다.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한국 육상 대표 45명 중 고교생은 남자 높이뛰기 최진우(울산스포츠과학고)와 김태희, 두 명뿐이다.
김태희는 처음 출전한 종합대회에서 한국 신기록과 아시안게임 한국 여자 최초 기록'까지 세웠다.
여자 포환던지기 결선에서는 이수정(30·서귀포시청)과 정유선(25·안산시청)이 모두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이수정은 16m21로 6위, 정유선은 16m00으로 7위에 그쳤다.
궁리자오(중국)는 19m58을 던져 아시안게임 3연패를 달성했다.
![]() |
29일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100m 예선 |
남자 100m 예선에 나선 이재성(22)과 이시몬(22·이상 한국체대)은 준결선 진출에 성공했다.
이번 대회 남자 100m 예선은 5개 조로 나눠 펼쳐졌다. 1∼5조 상위 4명이 자동 출전권을 얻고, 남은 선수 중 기록이 좋은 선수 4명이 준결선에 합류했다.
이재성은 10초50으로 3조 4위(전체 20위)를 해 준결선에 올랐고, 이시몬은 10초51로 5조에서 5위로 밀렸지만 전체 22위를 해, 24명이 출전하는 준결선에 안착했다.
남자 100m 예선에서는 셰전예(중국)가 10초07로 전체 1위를 했고, '태국 볼트' 푸리폴 분손이 10초13으로 2위에 올랐다.
김다은(20·가평군청)은 여자 100m 예선에서 개인 최고인 11초72(종전 11초73)에 달리고도 1조 5위, 전체 11위에 그쳐 8명이 얻은 결승행 티켓을 놓쳤다.
남자 400m 예선에 나선 김의연(29·포천시청)도 48초68, 전체 18위로 예선탈락했다.
jiks7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