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국방과 무기

군의 숨은 독침 '괴물미사일' 고위력 현무 실물 최초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층방어 요격 미사일 L-SAM도 일반에 첫 공개

연합뉴스

국군의날 기념식에 공개된 현무 미사일
(성남=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한국형 3축 체계 주요 장비 중 하나인 현무 미사일이 2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제75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공개되고 있다. 2023.9.26 kane@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국군의 '비닉 무기'(비밀 무기)인 고위력 현무 미사일이 75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최초 공개됐다.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개최된 국군의 날 기념식의 대미는 북핵 억지력의 핵심인 3축 체계 장비들이 장식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마지막에 등장해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이날 최초로 공개된 고위력 현무 미사일이다.

현무 미사일은 우리 군이 자체 개발한 미사일로 현무-1은 전량 퇴역했으며, 현무-2 시리즈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현무-3 시리즈는 순항미사일이다.

현무-4 시리즈는 현무-2를 개량한 신형 탄도미사일로 '현무-4-1'은 지대지 탄도미사일, '현무-4-2'는 함대지 탄도미사일, '현무-4-4'는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로 알려졌다.

고위력 현무가 '현무 4' 계열인지 아니면 이른바 '현무-5'로 불리는 신형 미사일인지는 불명확하다. 은밀하게 개발 중인 비닉 무기인 탓에 군이 의도적으로 어떤 확인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군의 날 기념식 영상을 통해 불과 4초간 비행 장면이 공개된 것이 전부였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영상으로만 공개됐던 고위력 미사일이 올해 기념식 때는 최초로 실물이 공개됐다"고 말했다.

당연하게도 고위력 현무의 세부 제원은 비밀에 해당한다.

다만, 국회와 언론 등을 통해 일부 알려진 바로는 탄두 중량만 8∼9t, 총중량은 36t에 달하는 '괴물 미사일'로 알려졌다.

기형적일 정도로 탄두의 중량을 늘렸기 때문에 제한된 범위에 미치는 파괴력은 전술핵에 버금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따라서 북한 지휘부가 은신한 지하 벙커를 파괴하는 데 최적의 무기체계로 꼽히며, 대북 억지력의 핵심인 '3축 체계' 증 대량응징보복(KMPR)의 핵심 수단으로 꼽힌다.

연합뉴스

이것이 L-SAM
(성남=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22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진행된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최종 리허설에서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L-SAM)이 선보여지고 있다. 2023.9.26 mon@yna.co.kr (끝)



고위력 현무와 함께 일반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장거리 지대공유도미사일(L-SAM)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L-SAM은 먼 거리에서 높은 고도로 날아오는 북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개발 중인 장거리 요격 미사일이다.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정점 고도를 찍은 후 하강할 때 고도 50∼60㎞에서 요격하는 상층 방어체계로, L-SAM이 요격하지 못하는 미사일은 고도 40㎞ 안팎에서 패트리엇(PAC-2/PAC-3) 및 국산 중거리 지대공미사일(M-SAM) 개량형인 천궁-Ⅱ가 요격한다.

군은 이런 한국형 다층 미사일방어체계(KAMD)를 구축하고 있다. 이 체계가 구축되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을 상층과 하층에서 다층적으로 요격할 확률이 더 높아진다.

이날 국군의 날 기념식은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을 비롯해 F-35A/B 스텔스 전투기 등 한미의 첨단 공중 전력도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시계가 확보되지 않아 고정익·회전익 전력은 참여하지 못했다.

오후 4시부터 서울 숭례문∼광화문 일대에서 펼쳐지는 시가행진에는 6천700여 명의 병력과 68종 340여대의 장비가 동원된다.

서울 한복판에서 시가행진이 진행되는 것은 2013년 국군의 날 기념식 이후 10년 만이다.

연합뉴스

[그래픽] 고위력 현무 탄도미사일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bjb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kind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