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최후항쟁지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 2025년 완공 '목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채민 기자(=광주)(pa7499@naver.com)]
5·18 민주화운동 최후항쟁이 벌어진 옛 전남도청 복원 착공사업이 오는 2025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본격화한다.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오는 10월 옛 전남도청 복원 착공식을 연다고 21일 밝혔다.

복원추진단은 본격적인 공사에 앞서 지난 8월부터 건물 인근에 안전 울타리와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있다.

프레시안

▲5·18 사적지 옛 전남도청 ⓒ광주 문화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시설물엔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 5·18민주화운동 항쟁 과정을 담은 사진과 설명이 부착됐다.

일부 건물 해체 계획에 대한 승인 절차도 진행되고 있다.

옛 전남도청은 1980년 당시 원형을 살리면서 5·18민주화운동 역사를 간직한 시민 친화적인 공간으로 바뀐다.

옛 전남도청 6개동에는 5·18 당시 각 건물의 서사와 특성을 살린 추모, 기억, 전시, 교육, 체험 공간이 들어설 예정이다.

6개동 중 4개동(옛전남도청본관·회의실, 상무관, 경찰국민원실)은 원형복원이 진행된다. 도청별관과 경찰국 본관은 구조의 안정성과 건물 변형정도를 고려해 제한복원이 이뤄진다.

특히 복원추진단은 문화재 건물 복원과 1980년대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자재 선정을 두고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도청 본관은 국가등록문화재, 도청 회의실은 광주시유형문화재로 등록돼있다. 바닥, 벽, 천정 보강 공사가 진행되는 회의실의 경우 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전문 문화재 수리 업체에 공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특히 1980년대 건물 고증 과정에서 옛 사진이 대부분 흑백인 탓에 당시 마감재의 색상과 재질을 선정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복원추진단은 단종된 마감재의 경우 당시와 비슷한 자재로 대체하거나 일부 공법을 변경해 원형 복원을 추진한다.

옛 전남도청에 박힌 탄흔도 아크릴판으로 둘러 보호한 뒤 공사를 진행 할 방침이다.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 관계자는 "1980년대 원형복원을 위해 매달 시민 단체와 광주시, 추진단 관계자들과 함께 옛 전남도청 복원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며 "원형복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옛 전남도청은 1980년 5월 27일 시민군이 진압작전에 나선 계엄군에 맞선 최후 항전지다. 이 건물은 전남도청이 지난 2005년 무안으로 이전하고 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서면서 원형 일부가 훼손됐다. 이후 정부 차원의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완공 예상 시점은 오는 2025년이다.

[임채민 기자(=광주)(pa7499@naver.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