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전 의원, ‘단식 투쟁’ 종료로 가는 세 가지 길 제시도
與 지도부가 가야 하나에는…‘판단 시점 됐다’ 우회 언급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대표의 자리가 비어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거 더불어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드루킹 사건) 특검을 요구하며 2018년 서울 여의도 국회 계단에서 단식 투쟁을 벌였던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13일로 2주째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무기한 단식 투쟁을 ‘절반 정도’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로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단식의 방식, 진정성을 반 정도는 인정해줘야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진 ‘반밖에 인정 못 하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밤에 단식을 하면서 12시간 안정된 숙면과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데서 하는 것은 반밖에 인정이 안 되는 것”이라고 이유를 댔다.
국민의힘 결정에 따라 서울 강서을 지역구 조직위원장이 된 김 전 의원은 2018년 5월 이른바 ‘드루킹 사건’ 특검을 요구하며 총 9일간 단식 투쟁을 벌였었다. 호흡곤란을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지기도 했으나 수액도 맞지 않고 반나절 만에 다시 단식 농성장을 복귀하는 등 강력한 투쟁의지를 내뿜었다. 하지만 ‘생명이 위험하다’는 의료진의 권유와 의원총회에서 나온 의원들의 중단 권고를 수용키로 하면서 단식 투쟁을 끝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 대표 단식 투쟁이 시작되면서 김 전 의원이 ‘단식 투쟁 선배’로 정치권 안에서 불리는 모양새가 됐다. 김 전 의원은 지난 6일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처절함으로 해야 되는 게 단식”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자기 주장이나 억울함을 풀어나가는 하나의 절박함인데, 168석의 의석을 가진 이재명 당 대표가 뭐가 모자라서 저렇게 단식을 하고”라며 꼬집었다. 진정한 약자의 최후의 수단으로 꼽히는 단식 투쟁을 이 대표가 실행해 그 진정성의 의심을 산다는 주장으로 풀이됐다.
김 전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도 “정치 자체가 너무 천박해져 버렸다”며 앞선 라디오 방송에서의 발언과 비슷한 궤의 주장을 펼쳤다. 그는 “단식은 약자가 하는 최후의 수단이자 저항의 방식”이라며 “168석을 가진 이재명 대표가 뭐가 부족해서 저렇게 처절한 방식을 선택했나”라고 반응했다.
2018년 5월9일, 당시 김성태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원내대표가 ‘드루킹 사건’ 특검을 촉구하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 설치된 천막 안에 앉아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김 전 의원은 이 대표의 단식 투쟁을 끝낼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의 민주주의 파괴에 맞서겠다며 지난달 무기한 단식 투쟁에 들어간 이 대표의 요구 사항 인용이 첫 번째 길이다.
이 대표는 단식 투쟁에 앞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의혹,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등을 나열하며 비판한 뒤, 민생 파괴와 민주주의 훼손에 대한 대통령의 대국민 사죄, 오염수 방류 반대 입장 천명, 전면적 국정 쇄신과 개각 단행 등을 공개 요구했었다.
두 번째는 민주당 의원총회 등에서 집단 결의로 이 대표의 단식을 끝내는 방법이다. 김 전 의원은 이어 “세 번째는 본인 생명이 위독했을 때 의료진 판단으로 그냥 강제로 실어 가는 방법”이라며 “이 세 가지 방법 외에는 단식을 마무리하는 길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과거 성남시장 시절인 2016년에 11일간 이어졌던 이 대표의 단식 투쟁 출구를 당시 김종인 민주당 비대위원장이 열어줬던 것을 근거로, 이 대표 단식을 끝낼 수 있느냐를 놓고 여러 정치인들이 최근 언급됐지만 이에 대해 김 전 의원은 별다른 말을 하지는 않았다.
다만, 국민의힘 지도부가 그 출구를 열 가능성에 관해서는 ‘정치의 도리는 일정 부분해야 한다’며 판단 시점은 거의 다 됐다고 본다고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자신이 직접 지도부에게 ‘이재명 대표 천막에 가라’는 식의 말까지는 할 수 없지만 정치를 살리기 위해 고민 정도는 해볼 수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김 전 의원은 ‘대통령실도 가야 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실까지는 언급하고 싶지 않다”며 “대통령실은 대통령실대로 정무적인 판단과 국정운영에 대한 판단이 있다”고 답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