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야근, 병원, 기절... 윤석열 대통령이 봐야 할 '주 69시간' 영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의 근로시간제 개편 추진 비꼬는 <너덜트>의 현실 고증... "노동시간, 숫자놀음 안 돼"

오마이뉴스

▲ 유튜브 채널 '너덜트'에서 업로드한 주69시간 코믹숏무비 ⓒ 유튜브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주 69시간을 다룬 유튜브 동영상 한 편이 직장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재밌는 영상을 주로 올리는 유튜브 채널 <너덜트>는 24일 '야근, 야근, 야근, 야근, 야근, 병원, 기절(https://youtu.be/Ct-9YyEQpeg)'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올렸다. 섬네일에는 '주 69시간'이라는 문구가 표기돼 있었다.

영상은 "일이 많을 때는 바짝 일하고, 일이 없을 때는 쉴 수도 있는 아주 탄력적이고도 유연한 주 69시간 근로제를 우리도 실시한다"라는 사장의 말로 시작한다.

대리는 주 69시간 근로제 도입에 "이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네"라며 한숨을 쉰다. 그러자 사원은 "그거 좋은 거 아니에요. 야근 계속하면 돈도 더 받을 수 있잖아요"라며 오히려 대리를 이상하다는 듯 쳐다본다.

대리는 '우리 회사는 야근해도 수당이 나오지 않는 포괄임금제'라고 설명한다. 그제야 사원은 "이 정도면 사기 아닌가요"라고 화를 내면서도 "그래도 주 69시간 다 일하고 다음 주 내내 쉬어버리면 우리한테 이득 아니냐"라고 반문한다. 그러자 대리는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우리는 중소기업이라 안 된다"고 말한다.

사원이 이해할 수 없다고 하자 대리는 '누군가 쉬면 대체 인력이 없다.', '연차도 쓰지 못하고 있다', '회사에 일이 없는 날이 없다' 등의 이유를 열거하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오마이뉴스

▲ 너덜트 영상의 한 장면 ⓒ 유튜브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분 49초까지의 영상 중 사원의 말은 주 69시간을 홍보하는 정부의 주장과 같다. 대리의 입을 빌려서는 사원(정부)의 홍보 내용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고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특히 "MZ들은 뭐 권리의식이 강해 사장 나와라 하면서 알아서 받아내래요"라는 대리의 말은 지난 9일 이정식 고용부노동부 장관이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을 비꼬는 대목이다.

앞서 이 장관은 "요새 MZ세대들은 '부회장 나와라, 회장 나와라', '성과급이 무슨 근거로 이렇게 됐느냐'라고 하는 등 권리의식이 굉장히 뛰어나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지적이 뒤따랐다.

실제로 대부분의 조합원이 MZ세대인 새로고 노동자협의회는 "연장근로 관리단위 확대는 국제 사회 노동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반대한다"며 주 69시간 근로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오마이뉴스

▲ 너덜트 영상의 한 장면 . 모티터에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연장근로 도입 근무표가 나와 있다 ⓒ 유튜브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상으로 다시 돌아가 보자. 주69시간 제도 도입 4주 차, 연일 계속된 야근으로 대리는 의자에서 졸고 있고 사원은 고용노동부가 만든 '연장근로 도입 근무표'를 본다.

"대리님! '열심히 일한 나, 충전 타임'이라고 돼 있는데 우리는 충전 타임 언제 주는 거예요?"

"나만의 휴가라고 적혀 있는데... 나만의 휴가에 주말이 포함돼 있네요."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연장근로 도입 근무표에 있는 충전타임, 묻지마 칼퇴근이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주 69시간 제도 도입 6주 차, 견디다 못한 대리는 사장에게 다음 주는 쉬겠다고 말한다. 그러자 사장은 "휴가를 쓴다고? 그러면 일은 누가 하느냐"며 다그친다.

대리는 "주 69시간이어도 매주 69시간 근무시키는 건 근로기준법 위반"이라고 말한다. 사장은 "지금 유 대리랑 나랑 일한 지가 몇 년인데 지금 숫자 놀이하자는 거야"라며 대리의 말을 무시한다. 대리는 "주 52시간일 때는 60시간이더니 69시간이 되니까 74시간이 됐다"며 울분을 감추지 못한다.
오마이뉴스

▲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주69시간 근무표 ⓒ 온라인커뮤니티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너덜트>의 영상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떠도는 주 69시간 근무표에 있는 '근무→야근→기절→병원'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만든 영상 버전이다.

유튜브에 주 69시간 영상이 업로드되자 댓글이 3천 개가 넘게 달렸다. 댓글의 대부분은 현실을 풍자한 코미디라는 극찬과 함께 주69시간을 반대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이번 영상만큼은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것 같네요. 이렇게 제대로 집어주는 풍자 영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누구한텐 밈일 텐데 당사자 입장에선 극사실주의 공포 다큐멘터리네요. 어쩜 이렇게 소름 돋게 우리 대표랑 똑같은 말을 하지..."

"풍자적으로 잘 만들어주셔서 웃긴 장면인데도 너무 진지하게 봤어요ㅜ 웃고 싶어도 웃을 수 없는 상황이 너무나도 화가 나네요."

"진짜 간만(오래간만에)에 등장한 정말 제대로 된 풍자물이다. 본론부터 곁가지 망언들까지 아주 하나하나 제대로 때려버리네."

오마이뉴스

▲ 너덜트 영상의 한 장면 ⓒ 유튜브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근을 나간 대리는 택시 안에서 휴가를 갔다가 자기 자리가 사라지고 신규 인력이 대체되는 꿈을 꾼다. 놀라 잠에서 깨고 회사로 복귀한 대리는 사장이 "관두려고?"라는 말에 "아니요. 안 관둡니다"라며 손사래를 친다.

대리의 표정은 아무리 회사가 야근을 강요하고 병원에 갈 정도로 아프고 기절해도 사표를 낼 수 없는 직장인의 비애를 그대로 보여준다.

주 69시간을 강행하려는 정부,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너덜트>의 영상을 꼭 보고 직장인들의 현실을 느끼길 바란다.

임병도 기자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독립 미디어 '아이엠피터뉴스'에도 게재됐습니다.

▶오마이뉴스에서는 누구나 기자 [시민기자 가입하기]
▶세상을 바꾸는 힘 [오마이뉴스 후원하기]]
▶오마이뉴스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