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한계 몰린 중소 건설기업…지방 건설사 16.7%가 한계기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우발채무 현실화시 부실위험…조건부 지원해야"

뉴스1

(자료사진) 2023.3.17/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최근 부동산 경기 냉각에 직격탄을 맞은 중소 건설기업 상황이 심상치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방에 있는 중소 건설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이 2021년 12.3%에서 지난해 16.7%까지 치솟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이 23일 공개한 '2023년 3월 금융안정상황'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경기 위축, 미분양 주택 누증 등으로 건설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저하되면서 부실 위험이 소폭 증대됐다.

한은은 특히 건설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상승, 이자비용 부담 등으로 건설기업 내 한계기업 비중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실제로 한은이 2021년 외감 건설기업 표본(대기업 307개, 중소기업 1306개)을 활용해 지난해 재무 위험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지방 중소 건설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1년 새 4.4%포인트(p) 오른 16.7%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은 통상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뜻한다.

수도권보다 지방 기업의 부진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도권 중소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1년 전보다 4.1%p 상승한 13.4%, 전체 중소기업은 4.2%p 오른 15.0%로 추산됐으며 대기업의 경우 전년비 2.9%p 상승한 9.4%로 계산됐다.

기업이 1년 후 부도를 맞을 확률이 5%를 넘는 '부실위험기업' 비중도 마찬가지였다. 지방 중소기업에서 부실위험 비중은 12.8%에 달한 반면 대기업은 5.5%로 절반 아래였다.

뉴스1

(한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은은 작년 3분기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72개 건설업 상장기업의 상태를 분석해 △재무건전성 △부실위험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 가능성을 분석하기도 했다.

그 결과, 상장 건설기업의 상환능력을 보여주는 이자보상배율은 작년 1~3분기 3.0배로, 2021년(6.5배)보다 추락했다.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취약기업 비중 역시 36.1%로 전년(28.9%)보다 상당 폭 상승했다.

건설기업이 1년 후 부도를 맞을 확률은 0.613%로 나타났다. 해당 확률이 5%를 초과하는 부실위험기업 비중은 2.8%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의 현실화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었다. 상장 건설기업 72개 중 32개 기업이 지난 3분기 기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과 유동화증권에 대한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었다.

심지어 3곳은 자기자본의 2배를 초과하는 PF 채무보증을 선 상태였다.

여기에 중도금대출보증 등 기타 채무보증을 모두 포함할 경우 44개 기업이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보유했다. 이 중 5곳은 우발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5배를 넘겼다.

한은은 "상장 건설기업의 재무건전성은 전년 대비 악화됐지만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재무제표 외 항목인 부동산 관련 채무보증을 감안할 경우 우발채무 현실화 시 일부 건설기업의 부실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중소 건설기업은 재무비율이 양호하더라도 PF 관련 유동성 충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분양을 통해 자금이 공급돼 최종 청산되는 부동산 PF 특성을 고려할 때 기본적으로 부동산 경기의 연착륙이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건설업계의 자구노력이 전제될 경우 조건부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