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호황기였던 2020~2021년 청약 당첨은 최대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이른바 ‘로또’로 불렸지만, 지난해부터는 금리 상승과 집값 하락세로 전환되며 상황이 달라졌다. 특히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 지방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 |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문재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아파트 입주자모집 공고문을 비교·분석한 결과, 분양가(옵션 제외·층수반영)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신축 아파트가 증가하고 있다.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해 하반기(7~12월)에는 신축 아파트 20개 단지가 분양가보다 낮게 거래됐으나, 올해는 1월 한 달 만에 11개 단지가 분양가보다 낮게 거래됐다. 분석 대상 단지는 2020년 1월 이후 분양된 전국 아파트다.
대구 달성구 화원읍 ‘화원신일해피트리꿈의숲’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3일 2억7300만원에 중개거래됐다. 2020년 8월 입주자 모집공고에 명시된 분양가 3억9800만원보다 1억2500만원이 내려간 것이다. 이 단지는 분양 당시 37가구 모집에 193명이 몰려 5.2대 1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집값 하락의 여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2021년 3월 4억2500만원에 분양된 울산 운주군 언양읍 ‘e편한세상울산역어반스퀘어’ 전용면적 84㎡도 지난달 2일 3억4000만원에 직거래됐다. 이 단지 역시 11가구 모집에 627명이 몰려 57대 1 경쟁률을 기록한 아파트였다.
수도권 지역도 예외가 아니다. 인천 서구 경서동 ‘북청라하우스토리’ 59㎡는 2020년 6월 3억1850만원에 분양됐지만 지난달 30일 2억7000만원에 직거래됐다. 인천 중구 운남동 ‘운서SK뷰스카이시티2차’ 78㎡도 2020년 7월 분양가(3억7500만원)를 밑도는 3억5250만원에 중개거래됐다.
서울에서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현재까지 분양가 아래로 매매된 신축아파트가 있다. 강북구 수유동 ‘칸타빌수유팰리스’ 20.67㎡는 준공 후 7차례에 걸친 무순위 청약으로도 ‘완판’에 실패했다. 이 단지는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공임대주택으로 매입해 논란이 됐다.
서울 신축 아파트도 ‘분양 완판’ 기록은 이미 깨진 상태다. 지난 1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동향을 보면, 2020년 1분기부터 2022년 2분기까지 100%에 육박하던 서울 아파트 초기분양률은 3분기 92.7%, 4분기 20.8%대로 곤두박질쳤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신규 분양 아파트 10가구 중 8가구는 6개월 안에 계약이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초기분양률은 분양 개시일 이후 경과 기간이 3개월 초과~6개월 이하인 사업장에서 총 분양 가구 수 대비 계약 체결 가구 수를 집계한 비율을 말한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지난해부터 전국적으로 집값이 조정된 후로는 상대적으로 입지가 부족한 단지들을 중심으로 분양가보다 낮은 매매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은 지방 의 일부 단지는 고분양가를 책정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 나는 뉴스를 얼마나 똑똑하게 볼까? NBTI 테스트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