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신임 원장 질의응답
라임·옵티머스 사태 재조사 질의에
"시스템 통해 볼 여지 있는지 점검"
사후 검사 강화 등은 "방향성 없다"
전문성 부족 지적엔 "여러 의견 반영"
이복현 신임 금감원장이 8일 여의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원장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감원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라임·옵티머스 관련 사건을 다시 살펴볼 의향이 있느냐’라는 물음에 “개별 사모펀드 사건은 종결되고 (수사당국으로) 넘어간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여러가지 사회 일각의 문제 제기가 있는 것도 알고 있다. 시스템을 통해 (사건을 다시) 볼 여지가 있는지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검찰 출신인 이 원장이 취임함에 따라 문재인 정부에서 발생한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재검증이 이뤄질 것이란 금융권 관측을 부인하지 않은 셈이다. 공인회계사이기도 한 이 원장은 검사 시절 굵직한 기업·금융범죄 수사에 참여해 ‘재계 저승사자’로 불렸다.
당장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전 주중대사의 동생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가 운용을 맡은 디스커버리 펀드에 대한 재조사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6일 장 대표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영장을 신청했다.
이 원장은 사전 감독에 초점을 둔 전임 정은보 원장 시절과 달리 금융회사에 대한 사후 검사 및 시장 조사를 강화할 것이란 예상과 관련해선 “방향성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간 자율, 혁신에 대한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는 생각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며 “다만 금융산업 특성상 규제가 사라질 수 없는 만큼 (규제를) 합리화하고 예측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금융감독을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검사체계 재개편 가능성에 대한 물음엔 현 시스템을 먼저 살펴보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앞서 정은보 전 원장은 올해 1월 기존 ‘먼지털이식’ 검사라는 비판이 많았던 종합검사 폐지하고 경영실태평가 등 건전성 감독에 중점을 둔 정기검사를 도입했다. 금융권은 이 원장이 종합검사를 부활시키면 금감원의 사정기관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금융 감독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이 원장은 “어제 (금감원) 간부들과도 그런 말을 나눴다”며 “(금감원엔) 분야별 전문가가 많이 계시고 금융위원회와도 협조적 관계를 유지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이어 “언론의 문제 제기에 대해서도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