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원 탐사기획팀 기자 |
미국의 세계적인 로큰롤 스타 엘비스 프레슬리는 징병제를 시행하던 1958년 입대했다. 당시 절정의 인기를 구가하던 그의 입대는 초미의 관심사였다.
당국은 프레슬리의 인기를 활용하고자 했다. 군 이미지 제고를 위해 예술부대에 배속시켜 주겠다고 했다. 하지만 프레슬리는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그는 특별대우를 원하지 않았다. 다른 청년들처럼 머리를 짧게 자르고 입소했다.
그는 냉전의 한기가 서린 서독에서 기갑병으로 군생활을 했다. 추후 공개된 1959년 미 육군의 문서는 “프레슬리 일병을 우러러보고 모방하는 10대 청소년들이 훗날 군 복무할 때 본보기로 따를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최근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군 입대 논란을 두고 말들이 많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운을 뗀 BTS 병역 혜택 이슈는 다음달 출범할 새 정부에서 이어받는 모양새다. 병역 혜택을 주장하는 측은 BTS의 경제적 효과를 내세운다. 국위선양과 문화창달을 근거로 정당성을 주장한다.
군 입장에서도 내심 BTS가 오지 않는 게 속 편하다. 스타는 주목도가 높고 관리도 어려워 큰 부담이다. 그룹 빅뱅의 지드래곤은 2018년 병영 생활이 담긴 ‘관찰일지’가 유출돼 곤욕을 치렀었다.
그럼에도 한국이 징병제를 유지하는 한 병역 문제는 공정이 핵심 가치로 작용한다. 군의 한 관계자는 “병역은 잘난 사람과 아닌 사람 모두 국방이라는 짐을 어떻게 공평히 나눠 짊어지느냐의 문제”라며 “예외를 두기 시작하면 징병제의 근간 자체가 무너져 버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공정을 외치며 윤석열 당선인을 지지했던 ‘이대남’은 최근 강하게 반발하며 등을 돌리는 모습이다.
군사정부 시절 탄생한 국위선양 개념은 혜택을 위한 수단으로 변질된 지 오래다. 올림픽 메달이 국격을 높인다고 여기는 시대도 저물어 간다. 하지만 되레 정치권은 이를 확대하며 낡은 논란을 되풀이한다. 정작 BTS는 군대를 가겠다는데 말이다. 오죽하면 BTS 슈가가 ‘어떻게 생각해’란 노래에서 “군대는 때 되면 알아서들 갈 테니까”, “우리 이름 팔아먹으면서 숟가락을 얹으려고 한 X끼들 싸그리 다 닥치길”이란 가사를 내뱉었을까.
프레슬리의 입대는 결과적으로 특별대우보다 나은 결과를 낳았다. 성실한 군생활 덕에 영원한 사랑을 받게 했고, 청년의 애국심을 드높였다. 당시 프레슬리의 경제적 효과와 문화적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했지만 공정의 가치가 우선됐다. BTS도 한국 청년들에게 의무를 함께 한다는 귀감을 줄 수 있다. 정치권은 BTS를 앞세운 ‘표팔이’를 멈추고 그들을 놓아 줘야 하지 않을까.
이주원 탐사기획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