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세계 속 한류

BTS, 라스베이거스 홀릴 때…BTS 소속사는 국내서 욕먹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TS 공연이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가 9일(현지시간) 보랏빛으로 물든 반면, 국내 SNS는 잿빛 댓글로 도배됐다. BTS 병역특례 논란이 재점화되면서다.

중앙일보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더 시티 라스베이거스. 사진 하이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속사 첫 입장 발표…병역특례 논란 재점화



BTS 공연 시작 8~9시간 전 BTS 소속사 하이브는 미국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국회 병역법 개정안에 대해 조속히 결론 내주셨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진형 하이브 CCO(커뮤니케이션 총괄)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병역법과 관련한 판단은 멤버들이 회사에 일임했다"면서 "개정안 처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계속돼) 본인들의 계획을 잡기가 어려운 면이 있어 힘들어하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소속사가 BTS 욕먹는 데 앞장선다. 선 넘었다” “영리 활동하면서 돈 버는데 왜 병역특례를 줘야 하나” “병역 면제 다 없애야 한다”와 같은 비판글이 수백건 쏟아져 나왔다. 11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10일 트위터 등 SNS에서 'BTS'는 35만 8401건, '병역'은 2438건 언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중앙일보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더 시티 라스베이거스. 사진 하이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TS 병역특례, 공정 논란 재점화



공정과 형평성 이슈는 특히 2030에서 민감하게 작동했다. 직장인 서모(32·남)씨는 “가뜩이나 병역특례 이슈에 민감한 상황에서 최소한의 ‘공정’을 지킬 안전장치가 있는지 되묻고 싶다”며 “국위 선양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군 복무 면제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BTS 병역특례 찬성 측에서도 ‘공정’이란 단어가 나왔다. 이지은(29)씨는 “운동, 국악, 성악 등은 병역면제를 받는데, 상업 음악 분야는 왜 병역면제가 안 되는지 의문”이라며 “국위선양 측면에서는 동일한 것 같아 병역특례 제도를 손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

일각에선 이번 논란을 정치권이 키운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BTS 멤버들은 앞서 “병역의무를 다하겠다”는 의견을 수차례 밝혔다. 팬클럽인 아미 측도 과거 “아미는 군 면제를 원한다고 한 적이 없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대선에서 한 후보가 “왜 손흥민은 되는데 BTS는 안 되냐”고 하는 등 정치인들의 관련 발언이 논란을 키웠다는 거다.



대중문화만 엄격? 성적 공인 기준 ‘모호’



중앙일보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더 시티 라스베이거스. 사진 하이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행 병역법상 예술·체육 분야에서 국위 선양과 문화 창달에 기여한 특기자는 군 복무 대신 예술체육요원으로 대체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여기에 대중문화는 빠져있다. 현재 국회에는 BTS를 포함해 큰 성과를 낸 대중문화예술인을 '예술 요원'으로 편입해 대체복무를 허용하는 내용의 병역법 개정안이 계류돼 있다.

대중문화 영역은 병역특례 대상 선정에 있어 명확한 기준점을 세우는 것이 최대 난제로 꼽힌다. 경기나 대회 등 성과를 공인할 객관적 기준을 정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체육 분야의 경우에는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에 일정 수준 이상 성적 요건을 두고 있다.

병역법 개정과 관련해 시민들의 시각은 엇갈렸다. 박나영(29·여)씨는 “신체 나이가 중요한 스포츠와 달리, 1년 6개월의 군복무기간이 BTS 연예 활동에 큰 지장을 준다고 보지 않는다”며 “스포츠와 달리 문화예술은 판단의 척도가 불분명하고 이를 악용할 여지가 클 것 같다”고 우려했다. 반면 차대혁(26·남)씨는 “BTS 같은 사례가 더 많이 나올 수 있도록 선정 기준을 엄격히 해 법을 개정하되, 최소한 군복무기간 축소 등을 고려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병역특례 정책은 국민감정을 눈치 보듯 자의적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어 대중들이 혼선을 느끼는 상황까지 왔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중예술에 대한 차별이나 형평성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선 정책을 일관성 있게 풀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함민정 기자 ham.minju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