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균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소프트웨어산업협회 강연
강연하는 김상균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
(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 = 세계 곳곳에서 메타버스(3차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는 인구 수가 이 기술이 주류 시장으로 안착할 것으로 전망할 만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상균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29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연 회원사 포럼에서 강연자로 나와 이런 의견을 밝혔다.
'메타버스', '게임인류' 등 메타버스 관련 저서를 집필한 김 교수는 최첨단 기술을 시장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담은 이론 '하이프 스테이지 모델'을 소개했다.
이 모델은 최첨단 기술의 시장 형성 과정을 '초기 시장', '주류 시장', '후기 시장'으로 나눈다. 초기 시장은 다시 '혁신자'와 '초기 수용자' 단계, 주류 시장은 '전기 다수'와 '후기 다수' 단계로 쪼개진다.
김 교수는 "하이프 스테이지 모델에서는 신기술 이용자가 주류 시장의 '전기 다수'를 넘어가면 시장이 뒤로 후퇴하지 않는다고 한다"며 "세계 인구 78억명 중 인터넷이 닿는 공간에 있는 44억명, 그중 대략 7억명이 메타버스를 이용하면 이 전기 다수의 앞부분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페토' 이용자 수 3억명, 게임 '포트나이트' 이용자 수 3억명, '로블록스' 2억5천만명, '마인크래프트' 3억명 등을 합치면 겹치는 이용자를 고려하더라도 현재 메타버스 이용자 수는 7억명을 확실히 넘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 7억명이 현재는 젊은 층에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그들이 빠른 속도로 사회 주역으로 올라오고 있다"며 "'후기 다수'에 진입하는 시기가 1년 뒤일지 2년 뒤일지 모르지만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이 인구 감소세에 들어선 한국에도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김 교수는 "인구 감소는 경제 생산적 측면에서 매우 큰 장애 요인인데, 생각을 바꿔보면 제페토 등 한국 메타버스 플랫폼에 이미 3억명의 세계인이 들어와 있다"며 "그들이 그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한국 중심의 새로운 문화관이나 세계관을 갖는 특이한 집단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대체불가토큰(NFT)과 관련해서는 정확한 개념 인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많은 이들이 오해하는 게 'NFT가 심어지면 그것의 가치가 올라간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원래 작품 또는 상품에 가치가 있기에 NFT를 심어서 보호하는 것이지, NFT 자체가 가치를 증명해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스마트폰 다음으로 인간이 '내 몸의 일부'처럼 인식하고 '신체 자각 범위' 안에 들어갈 물건은 글라스(안경 기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메타버스의 방향을 알려면 앞으로 어떤 가상현실(VR) 장비가 나올지보다는 인간의 욕망이 어느 쪽으로 흘러가는지를 바라보는 게 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인간의 욕심이 커가는 속도, 인간이 가진 탐험과 성취, 소통과 관련한 욕심이 지향하는 공간이 메타버스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hye1@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