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안철수, '원톱' 인수위원장... 윤석열 인수위 '뼈대' 나왔다

속보
서울 돌곶이역 인근 도로 싱크홀 신고…부분 통제
부위원장 권영세, 기획위원장 원희룡
한국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및 부위원장 인선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3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대통령직인수위원장 겸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임명했다. 공동 정부 구성을 약속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한 것이다.

인수위 부위원장에는 4선의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을, 기획위원장에는 원희룡 전 제주지사를 임명했다. 두 사람은 대선 전략과 정책을 주도했다. 안 대표가 위원장을 맡더라도 권 의원과 원 전 지사를 통해 윤 당선인이 인수위 그립을 강하게 잡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윤 당선인은 또 인수위를 ‘경제 1, 2 분과를 포함한 7개 분과와 국민통합위원회,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등 1개 위원회·2개 특위' 의 조직으로 꾸리겠다고 발표했다. 경제정책 전환과 코로나19 대응, 국민통합, 지역 챙기기가 정권 인수 과정의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는 뜻이다. 윤 당선인은 “일 잘하는 정부, 능력 있는 정부로서 국민을 주인으로 제대로 모시고 국민통합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인수위 1차 인선안과 구성안을 발표했다. 기자들로부터 20분에 걸쳐 질문 15개를 받아 답변하는 등 구상을 상세히 소개했다.

윤 당선인은 안 위원장에게 인수위 ‘원톱’을 맡기며 ‘공동 정부’의 밑그림을 확실히 그렸다. 인수위원장은 대통령 당선인의 의중을 잘 아는 핵심 측근이나 당선인의 이미지 중화에 기여할 사회 원로의 몫이었다. '인수위 얼굴'로 안 대표를 내세운 것은 그의 '중도·실용' 가치를 새 정부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은 “안 대표는 저와 국정운영 가치와 철학을 공유한다”며 “안 대표도 인수위를 이끌 의지가 있고 저 역시 적임자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응이 새 정부 초기 최고 난이도의 과제로 꼽히는 가운데, 안 위원장은 코로나특위 위원장도 맡는다. 윤 당선인은 "특위는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에 대한 신속한 손실 보상과 방역·의료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룬다"며 "인수위원장이 겸직해 책임감 있게 챙기게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권 부위원장은 선거대책본부 총괄선대본부장에서 자리를 옮기게 됐다. 권 부위원장은 인수위행을 고사했지만, 윤 당선인이 설득했다고 한다. 윤 당선인은 “풍부한 의정 경험과 경륜으로 유능하고 안정적인 리더십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기획위원회는 대선 정책 공약을 총괄한 원 위원장을 위해 신설한 별도의 조직이다. 안 위원장과 인수위 7개 분과 사이에서 새 정부의 핵심 의제를 총괄·조율할 전망이다.

7개 분과는 기획조정,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경제2(산업·일자리), 과학·기술·교육, 사회·복지·문화분과로 구성된다. 10년 전 박근혜 정부 인수위(9개 분과)와 비교하면 조직이 간결해졌다.

기획조정분과는 정책통인 추경호 의원, 안 위원장의 핵심 측근인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 등이 맡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과학ㆍ기술ㆍ교육 분과에는 김창경 전 교육과학부 차관이 유력하게 거명된다. 유상범 의원(정무·사법·행정)과 김현숙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과 김미애 의원(사회·복지·문화), 김성한 전 외교부 차관(외교안보) 등의 합류도 점쳐진다.


국민통합위원회는 지역, 계층, 세대를 아우르는 국민통합 정책의 뼈대를 세우는 역할을 맡고, 지역균형특위는 지역별 공약 실천을 담당한다.

나머지 분과별 인수위원은 18일 인수위 출범 전 순차적으로 인선될 예정이다.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은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1인 및 24인 이내의 위원으로 인수위를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김현빈 기자 hbkim@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