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차기 대선 경쟁

민주, 뼈아픈 패배인데…‘역대 최소 표차’에 뼈저린 반성 실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패인 분석보다 위로·결의 쏟아져
당내 계파·세력 갈등 수면 위로
“이낙연 때문에” “추미애 지켜라”
일부 강성 지지자들, 문자 폭탄

경향신문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맨 앞)과 의원들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20대 대선 패배 이후 당을 수습하는 모습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역대 최소 표차’와 ‘역대 최다 득표’ 성적표를 받으면서 반성과 쇄신보다는 자기 위로와 결의만 넘치면서다. 지도부 총사퇴 이후 꾸려질 비상대책위원회를 놓고선 물밑에서 계파·세력 간 견제까지 오가면서 자중지란에 빠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감지된다. 일각에선 “먼저 명확히 패인을 분석하고 쇄신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당내에선 대선 패배 후 반성보다는 위로와 결의의 말이 주로 나오고 있다. 송영길 대표는 지난 10일 선대위 해단식에서 “정권교체 여론이 압도적인 상황에서도 역대 최고 득표율 성과를 거뒀다”며 “대선이 생긴 이래 가장 근소한 표차인 24만표 차이로 (대통령이) 결정됐다”고 평가했다. 통상 대선에서 진 정당이 반성과 쇄신책을 쏟아내며 내홍을 겪는 것과 달리 일사불란하게 단합에 나선 것이다.

이는 민주당이 처한 상황 때문으로 분석된다. 당내로 보면 오는 25일 원내대표 경선을 시작으로 6월 지방선거, 8월 당대표 선출 전당대회 등 권력구도를 재편할 큰 선거가 첩첩이다. 대선을 평가하고 책임을 묻기보다는 내부 권력경쟁에 집중해야 하는 일정에 직면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피해 지원과 대장동 의혹 특검, 새 정부 내각 인사청문회 등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및 국민의힘을 상대로 한 ‘당밖 경쟁’도 예정돼 있는 터다.

하지만 명확한 대선 패인 분석과 쇄신 방안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왜 정권을 잃게 된 것인지 따져봐야 하는데, 이런 움직임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당내 계파·세력 간 갈등도 고개를 들고 있다. 대선 직후 일부 강성 지지자들이 지도부와 선대위 인사들에게 “이낙연 때문에 졌다” “송영길·추미애를 지켜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 폭탄’을 보내 논란이 일고 있다. 비대위원 인선을 놓고도 ‘윤호중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직 임명 반대’ 주장과 “이재명 후보를 비대위원장으로 임명해 지방선거를 치러야 한다”(김두관 의원 SNS)는 의견 등 백가쟁명식 논쟁이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친문(재인)’에 가깝다는 평가를 듣는 윤 위원장이 특정 세력 인사들을 비대위원에 배치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쇄신책을 주장하는 쪽에서도 뚜렷한 대안은 내지 못하고 있다. 이광재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기본적으로 여의도가 ‘폭파’돼야 된다. 많은 (외부인사) 수혈이 있어야 낡은 정치권이 깨져버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이날 의원총회를 열고 윤호중 원내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이르면 오는 13일까지 비대위원을 인선을 마치고 다음 주 중 비대위를 출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달 내 조기 선출하기로 한 신임 원내대표를 교황 선출방식으로 결정하는 데도 공감대를 모았다.

의총에선 윤 원내대표 역시 20대 대선에서 패한 지도부 일원이라는 점에서 최고위의 비대위 구성 결정이 적절하냐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두관 의원은 “윤호중 원내대표 중심 비대위로는 검찰의 칼날도, 지방선거 승리도 보장하기 힘들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 비대위원 비중도 관건이다. 의총에선 비대위원 절반을 여성에게 할당하자는 의견도 나왔다고 한다. 박지현 당 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이 비대위원 하마평에 올라 있다.

박홍두·윤승민·박광연 기자 phd@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