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세계 속 한류

“BTS 실물 보니 꿈만 같다” 2년반 만에 잠실 대면 콘서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10일 오후 서울 잠실 올림픽주경기장의 무대에 오른 방탄소년단(BTS).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언제 박수로 꽉 찬 콘서트를 해보겠어요. 역사에 남을 공연입니다.”(RM)

함성은 없지만, 거대한 보랏빛 박수 소리가 잠실벌을 가득 채웠다.

2년 5개월 만에 BTS가 서울에 돌아왔다. BTS는 10일 오후 7시 서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BTS 퍼미션 투 댄스-서울’ 공연을 열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오프라인 공연이 약 2년간 중단되면서, 2019년 10월 같은 장소에서 열린 ‘BTS 월드 투어 러브 유어셀프:스피크 유어셀프’ 공연 이후 2년 5개월 만의 한국 오프라인 공연이다.

10·12·13일 3일간 열리는 공연은 회당 1만5000명씩, 총 4만5000명이 관람한다. 코로나19 이후 최대 규모지만 이날 7만석 규모 잠실 주경기장은 한쪽의 절반만 채워졌다. 방역지침에 따라 거리두기를 해서다. 2시간 반에 걸친 공연이 끝날 무렵 마이크를 잡은 RM은 “지긋지긋하고 그지같은(거지같은) 언택트 무대”라며 “영혼을 갈아 준비한 공연인데 많은 분이 보실 수 없고, 많은 제한이 있는 상태에서 하는 게 속상하지만 해보니까 비대면보다 훨씬 낫습니다”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1만5000석이 마련된 공연장으로 팬들이 입장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함성도 금지된 공연장에는 빅히트 뮤직이 나눠준 간이 도구 ‘클래퍼’가 내는 박수 소리가 가득 찼다. RM은 “저희도 이런 공연이 처음입니다. 나름 평생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어떤 위기가 와도 우리는 방법을 찾아냈습니다”라고 말했다. 진은 “함성이 없으니까 쉴 시간이 없네요”라고 농담을 던지며 “아미들도 하고 싶은 말이 굉장히 많을 텐데, 텔레파시로 다 들어오고 있어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뷔는 “지난번엔 카메라만 있는 콘서트를 했었는데 아미분들이 여기 계시니까 너무 감동적이고 설렙니다”라고 말했고, 슈가는 “저희가 아미분들을 조금 더 보고 싶었습니다”라고 팬클럽 ‘아미’ 대상으로 예매를 진행한 이유를 설명했다.

2년 반 만에 ‘실물’ BTS를 만나게 된 팬들은 기대감을 감추지 못했다. 공연이 시작되기 몇 시간 전부터 공연장과 이어지는 지하철 종합운동장역 개찰구부터 보라색 패딩, 마스크, 후드 등을 챙겨입은 팬들의 물결이 이어졌다.

중앙일보

팬들은 보라색 가발, 패딩, 마스크, 후드 등으로 2019년 10월 이후 첫 한국 대면 공연을 여는 BTS를 반겼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13일까지 3일 공연 티케팅에 모두 성공했다는 민승원(29)씨는 “지하철역에서 올라올 때부터 울컥했다. 실감이 안 난다”며 “지난해 LA 콘서트도 갔는데, 서울에서는 함성을 못 지르니 느낌이 다를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산 지 1년 됐다는 호주인 테야(32)는 “코로나19 확산 직전 팬이 돼서, 온라인으로만 BTS를 봤다”며 “처음으로 공연장에 오니 너무 비현실적이고, 이제서야 BTS가 현실이라고 느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함께 온 터키인 아이셰(31)와 필리핀인 베른(28)도 “마침내 콘서트를 보게 되다니, 내가 팬데믹에서 살아남은 이유가 이거구나 싶다”고 말하며 내내 웃었다.

자녀가 티케팅을 대신 해줘 보러 왔다는 장년층 팬도 여럿이었다. 경주에서 공연을 보기 위해 올라왔다는 이모(60)씨는 “2010년 ‘피 땀 눈물’부터 눈여겨봤지만 본격적으로 덕질한 지는 2년이라서 공연은 처음”이라며 “일요일이 환갑인데 아들이 티케팅해줘서 멋진 환갑 선물을 받았다”고 말했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