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분석…물가상승률 1.1%p↑, 경상수지 흑자 305억달러↓
![]() |
"국제유가 배럴당 100달러되면 한국 경제성장률 0.3%p↓" |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사상 세 번째 '국제유가 배럴당 100달러 시대'가 온다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0.3%포인트(p)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8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의 경제 원유의존도, 그 개선이 시급하다-국제유가 상승이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다.
연구원은 "최근 국제유가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1차 고유가 시기(2008년 4월∼8월), 2차 고유가 시기(2011년 2월∼2014년 8월)에 이어 사상 세 번째의 배럴당 100달러 시대로의 진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가 되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0.3%포인트 하락하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305억달러(3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의 원유 의존도가 높아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비용 상승 압력을 키우는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기준 한국 경제의 원유의존도(국내총생산 대비 원유소비량)는 5.70배럴로 OECD 37개 회원국 중 1위다.
같은 해 기준 한국의 국민 1인당 원유소비량은 18.0배럴로 OECD 37개 회원국 중 4위다. 3위는 미국(19.0배럴)이다.
![]() |
2022년 시나리오별 국제유가 상승이 주요 거시경제 변수에 미치는 영향 |
연구원은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정유, 철강, 화학, 전력·가스·증기, 도로운송, 항공운송 등 부문에서 비용 상승 압력이 급증할 것으로 분석했다.
원유를 주요 원자재로 사용하는 정유산업의 원가 상승률은 23.5%에 달해 산업 부문 중 비용 상승 압력이 가장 높았다.
연구원은 한국 경제가 국제유가 변동에 민감한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고 '오일쇼크'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하려면 원유·원자재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기업의 수익성 악화에 대비해 비상 경영체제를 구축하고, 가격 변동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원자재 구매의 효율성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경제·산업 구조를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 |
국제유가 배럴당 100달러 시 제조업 및 건설업의 원가상승률 |
viva5@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