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

저출산·고령화에 2030년 생산가능인구 '뚝', 장년층 비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오세중 기자]
머니투데이

자료=고용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0년까지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생산가능인구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고용노동부는 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청년층 비중은 급격히 줄고, 50세 이상 장년층 비중이 크게 높아진다. 2030년까지 생산가능인구 증가폭도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2020~2030년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134만4000명이 늘지만 2010~2020년 전망치인 396만명에 비해 3분의 1토막 수준으로 증가폭이 크게 떨어진다.

특히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320만2000명이 감소하는 등 감소세로 전환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30년 연령별 인구 비중 전망을 봐도 '15~49세 청년층'은 14.7%로, 2020년 대비 5.2%포인트(p) 감소했지만 '50세 이상'은 2020년 45.8%에서 2030년 55.0%로, 9.2%p 증가했다.

경제활동인구 측면에서도 2030년까지 '15세 이상'은 74만6000명이 늘지만, 2025년을 기점으로 감소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경제활동참가율에서 '15세 이상' 참가율은 베이비붐세대가 65세로 편입되는 2024년 정점(63.5%)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선다. 인력공급 제약으로 세부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가율은 상승하지만 인구 고령화로 15세 이상 전체 경제활동 참가율이 하락한다는 의미다.

취업에선 15세 이상 취업자는 2030년까지 98만 명 증가하지만 고령화, 산업구조 변화 등의 영향으로 2025년을 정점으로 감소로 전환된다는 분석이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중심의 취업자 수가 113만1000명으로 증가세를 지속하지만 제조업은 2000명이 줄어드는 등 감소세로 돌아선다는 전망이다.

또 디지털 혁신으로 경제성장이 가속화되면서 2035년에는 기준전망보다 15만4000명이 추가로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초반에는 빠른 디지털, 자동화로 취업자 수가 기준전망보다 적지만 2026년 이후 성장률 효과 등으로 가시화되며 기준전망보다 많아지고, 2028년 이후 완만한 속도로 둔화될 전망이다.

고용부는 "향후 노동시장은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으로종전에 없던 '공급제약'과 '고용구조의 급속한 재편'이 예상된다"며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공급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노동이동 지원체계 마련, 사회안전망 강화 및 인적자본 양성 등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세종=오세중 기자 danoh@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