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당국 “임신부, 방역 패스 적용”…윤석열 “철회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국,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백신 접종 권고

세계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방역 당국은 임신부에 대해 계속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당국은 임신부들이 오히려 ‘접종 권고 대상’인 만큼 방역패스 예외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방역 당국은 최근 미접종 임신부가 사망한 사례를 들며 임신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위험도가 높아 접종 필요성이 높다고 강조한다.

반면 일각에서 태아에 안좋은 영향이 있을 것을 우려하는 임신부들이 접종을 꺼리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방역패스 대상에서 이들을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데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만에 하나라도 태아 건강에 문제가 생길까봐 감기약 한 알도 제대로 못 먹는 것이 내 아이를 생각하는 엄마의 마음”이라며 “임신부에 대한 방역패스 적용은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선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임신부는 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예방접종 권고대상이며, 의학적 사유에 의한 방역패스 예외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유미 방대본 일상방역관리팀장은 “최근 코로나19에 확진된 미접종 임신부의 위험사례 등이 보고된 만큼 임신부에게는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백신 접종이 권고된다”며 “다만, 임신 12주 이내의 초기 임신부는 백신을 맞기 전에 주치의와 상담한 후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도 “백신은 어느 기간에 맞아도 전혀 상관없다”며 “임신 상황이나 태아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예방접종을 하게 되면 백신이 임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오인할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치의와 상의 후 예방접종 당일의 건강 상태가 안 좋거나 임신과 관련한 합병증이 의심되는 등 현재 접종을 하기에 부적절한 상황이라면 접종을 미룰 것을 권고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임신부의 방역패스 적용 여부를 놓고 윤 후보는 방역패스 적용은 철회를 주장하며 “백신 접종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임신부를 차별하거나 불이익을 제공하지 않을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엄마만이 아니라 임신부 가정 전체가 10개월의 임신기간 동안 노심초사한다. 방역 당국이 오히려 임신부의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고 정부는 일률적인 방역패스 적용에 거의 예외를 두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