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정부, 전날 오후 3시부터 이어진 실무협의 '막판' 타결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2일 오전 7시 총파업을 약 5시간여 앞두고 전격 철회했다.
보건의료노조와 보건복지부가 전날인 1일 오후 3시부터 벌여온 제13차 노정 실무협의가 자정을 넘긴 2일 새벽에 극적으로 타결된 데 따른 것이다.
양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는 엄중한 상황을 인식하면서 파업 자제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지난 5월 말부터 이날까지 13차례 치열하게 교섭했다. 공공의료 확충 등 큰 방향성에는 상호 공감대를 형성했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핵심 과제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파업 전날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다가 이날 극적 타결했다.
보건의료노조가 마지막까지 핵심 쟁점으로 내세웠던 과제는 5개 핵심 과제는 코로나19 전담병원 인력 기준 마련, 공공의료 확충 세부 계획 마련,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교육 전담 간호사 확대, 야간 간호료 확대 등이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가 노조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보건의료노조와 복지부의 협의에 앞서 김부겸 총리가 협상장을 방문해 나순자 보건의료위원장을 직접 만나는 등 문제 해결에 의지를 보인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이 자리에서 "노정간 합의사항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이행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제도개선과 예산이 필요한 사항들은 이해관계인, 국회와 협의를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보건의료노조와 정부와의 교섭 합의에 따라 우려했던 의료공백이나 의료현장에서의 혼란은 벌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필수 업무로 분류되지 않은 코로나19 병상과 선별진료소에서 근무하는 인력 일부도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어서 방역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컸으나 막판 합의로 아찔한 상황은 피하게 됐다.
jandi@yna.co.kr
보건의료노조와 보건복지부가 전날인 1일 오후 3시부터 벌여온 제13차 노정 실무협의가 자정을 넘긴 2일 새벽에 극적으로 타결된 데 따른 것이다.
양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는 엄중한 상황을 인식하면서 파업 자제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지난 5월 말부터 이날까지 13차례 치열하게 교섭했다. 공공의료 확충 등 큰 방향성에는 상호 공감대를 형성했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핵심 과제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파업 전날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다가 이날 극적 타결했다.
보건노조-복지부, 쉽지 않은 막판 교섭 |
보건의료노조가 마지막까지 핵심 쟁점으로 내세웠던 과제는 5개 핵심 과제는 코로나19 전담병원 인력 기준 마련, 공공의료 확충 세부 계획 마련,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교육 전담 간호사 확대, 야간 간호료 확대 등이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가 노조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보건의료노조와 복지부의 협의에 앞서 김부겸 총리가 협상장을 방문해 나순자 보건의료위원장을 직접 만나는 등 문제 해결에 의지를 보인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이 자리에서 "노정간 합의사항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이행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제도개선과 예산이 필요한 사항들은 이해관계인, 국회와 협의를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보건의료노조와 정부와의 교섭 합의에 따라 우려했던 의료공백이나 의료현장에서의 혼란은 벌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노조는 약 8만여명의 조합원을 두고 있으며, 이번에 5만6천여명의 조합원이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이들 중에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에 근무하는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 30% 내외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정돼왔다.
특히 필수 업무로 분류되지 않은 코로나19 병상과 선별진료소에서 근무하는 인력 일부도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어서 방역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컸으나 막판 합의로 아찔한 상황은 피하게 됐다.
[그래픽]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전격 철회 |
jand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