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쿠데타, 주변국은 '강 건너 불구경'…"미얀마 국내 문제" 선긋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 최고사령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미얀마 군부 쿠데타데 대해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가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인접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미얀마 국내 문제라며 선을 긋고 나섰다.


1일 현지 언론 및 주요 외신에 따르면 쁘라윗 웡수원 태국 부총리는 이날 기자들로부터 미얀마 쿠데타 사태에 대한 질문을 받자 "미얀마 국내 문제"라고 잘라 말했다.


군 장성 출신인 쁘라윗 부총리는 지난 2014년 5월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쁘라윳 짠오차 정부에서 '넘버2' 역할을 해왔다.


태국에서는 1932년 절대왕정이 무너지고 입헌군주제가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19차례나 쿠데타가 발생했다.


이날 훈센 캄보디아 총리도 "미얀마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있지만,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회원국의 하나로서 아세안 다른 국가들의 국내 문제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985년 1월 집권한 훈센 총리는 37년째 권좌를 지키고 있다. 제1야당을 강제로 해산한 가운데 치러진 2018년 7월 총선에서 집권 여당인 캄보디아국민당(CPP)이 전체 125개 의석을 싹쓸이해 훈센 총리는 2023년까지 집권을 연장할 수 있게 됐다.


해리 로케 필리핀 대통령궁 대변인도 이날 언론브리핑에서 "미얀마 국내 문제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미얀마에 있는 우리 국민의 안전"이라고 선을 그었다.


필리핀에서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집권한 직후인 2016년 7월부터 '마약과의 유혈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 과정에 재판 없이 용의자를 사살하는 이른바 '초법적 처형' 문제로 국제사회와 인권단체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