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이슈 국악 한마당

국립국악원, 故 황병기 명인 소장 고악보집 공개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음악학 자료총서 55집' 발간

'금보전' '영산회상' 담아

"후학 위해 책 제작 요청"

이데일리

황병기 명인이 소장한 거문고 악보 ‘금보전’ 표지(사진=국립국악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립국악원은 고(故) 황병기 명인이 소장했던 거문고 악보 ‘금보전’(琴譜全)과 양금 악보 ‘영산회상’(靈山會上)을 묶은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 자료총서 55집’을 발간해 공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악보집은 황병기 명인의 별세 전인 2017년 9월 25일 명인의 자택에서 촬영한 자료로 제작됐다. 국립국악원 측은 “고인은 당시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고악보들을 내놓으면서 국립국악원이 후학들을 위한 책으로 제작하기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금보전’은 저자 미상의 거문고 고악보집으로 제작연대는 1713년 2월 5일로 추정된다. 17세기 후반~18세기 초 풍류방에서 연주되었을 ‘중대엽’ ‘북전’ ‘삭대엽’ ‘감군은’ ‘여민락’ ‘보허자’ ‘영산회상’ 등의 곡목을 수록하고 있다. ‘양금신보’(1610)를 비롯해 ‘신보’ ‘시보’ ‘청송보’와 출처 미상의 악보를 필사해 한 악보집 내에서 동일한 악곡의 기보법과 선율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이데일리

황병기 명인이 소장한 양금 악보 ‘영산회상’ 표지(사진=국립국악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산회상’은 저자와 제작연대가 미상인 양금 악보다. 대표적인 줄풍류 음악인 ‘영산회상’ 등의 악곡을 음이 소리 나는 대로 기록한 육보(肉譜)다. 양금 선율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악보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또한 ‘채희곡’이라는 명칭이 사용된 악곡에서는 선율 흐름이 ‘취타’와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어 옛 음악 연구의 지평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국악원은 1979년부터 고악보, 무보(舞譜), 그림·사진, 악서, 의궤, 등의 1차 음악 사료를 수집해 한국음악학 자료총서로 발간하고 있다. 이번 ‘금보전’과 ‘영산회상’은 각각 최선아 서울대 강사, 박정경 국립남도국악원 장악과장이 해제해 각 악보에 대한 서지 및 내용적 가치, 정보를 담았다.

이번 발간물은 비매품으로 제작해 전국의 주요 국공립 및 대학 도서관에 배포한다. 국립국악원 홈페이지에서도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