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여야의 유력 대선주자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에 대한 이견으로 정면 충돌했다. 지난 주말 이재명 경기지사와 원희룡 제주지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한치 양보 없는 설전을 주고 받았다.
이재명 지사가 지난 4일 자신의 SNS에 올린 '국민의힘은 왜 공수처를 두려워하십니까'라는 글이 시발점이었다.
이 지사는 "있는 죄도 묻고 없는 죄도 조작해내는 무소불위 검찰을 통제하려면 검찰 부패까지 수사할 수 있는 공수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공수처를 두려워하는 세력은 온종일 '무·공·반(무조건 공수처 반대)'만 외치며 민생을 외면하고 기득권에 목매는 국민의힘"이라고 맹비난했다. 직설적으로 국민의힘을 지목, 공수처에 대한 야당의 반대를 '민생 외면'으로 못박은 공세였다.
이재명 지사가 지난 4일 자신의 SNS에 올린 '국민의힘은 왜 공수처를 두려워하십니까'라는 글이 시발점이었다.
이 지사는 "있는 죄도 묻고 없는 죄도 조작해내는 무소불위 검찰을 통제하려면 검찰 부패까지 수사할 수 있는 공수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공수처를 두려워하는 세력은 온종일 '무·공·반(무조건 공수처 반대)'만 외치며 민생을 외면하고 기득권에 목매는 국민의힘"이라고 맹비난했다. 직설적으로 국민의힘을 지목, 공수처에 대한 야당의 반대를 '민생 외면'으로 못박은 공세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원 지사가 곧바로 반격에 나섰다. 원 지사는 지난 6일 자신의 SNS에서 "이재명 지사의 주장대로 검찰이 절대 권력이라면 그런 검찰을 수사할 공수처는 수퍼 절대권력"이라며 "'죄를 안 지었으면 공수처가 두려울 리 없다'는 논리라면, 지금 정권이 검찰을 두려워하는 건 죄를 지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반격했다.
원 지사는 그러면서 "만약 공수처를 만들어 검찰을 통제하고 싶다면 더 쎈 공수처를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당연히 있어야 한다"며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은 공수처라는 절대반지가 다른 괴물의 손에 들어갈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두려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지사는 "국민의 정치의식 수준을 폄하하며 뻔한 사실을 조작해 국민을 호도하려 하면 할수록 점점 국민의 눈 밖에 날 것"이라며 "촛불혁명을 겪고도 혁명의 원인이 된 행태를 청산하지 못한다면 청산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이어 "검찰이 지나치게 권력을 독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 힘을 합리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제도개혁의 본질이어야 하지만 지금 여당과 청와대가 주도하는 검찰개혁은 검찰처럼 수사권과 기소권을 독점하고 심지어 검찰과 경찰이 수사하고 있는 사건도 수사할 수 있는 등 검찰보다 더 강한 권력기관으로 공수처를 만드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그러면서 "촛불을 들었던 시민들의 에너지는 옳지 않은 것에 대한 공분이었지, 한쪽을 일방적으로 편드는 편협함의 산물이 아니었다"며 "작은 구멍을 방치하면 결국 큰 댐도 무너지고 만다. 정책이 실패해서가 아니라 권력비리를 막기 위해서 무너지는 정권을 보는 것은 국가의 실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