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패널 환경성적표지 인증 획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탄소·자원·물 발자국 등 7개 평가 항목 전체 인증 획득

헤럴드경제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내 공정용수 재이용 RO(Reverse Osmosis) 시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정세희 기자]삼성디스플레이는 갤럭시 Z플립 모델에 탑재되는 폴더블 OLED(모델명 : AM670UH01)에 대해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환경부가 총괄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운영하는 환경성적표지는 원료 제조부터 제품 생산까지 전과정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국가 공인 제도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18년 갤럭시 S8에 적용된 OLED 패널을 인증 받은 바 있다.

당시엔 갤럭시 S8에 적용된 OLED에 대해 4개 항목(탄소발자국, 산성비, 부영양화, 물발자국) 인증을 받은 반면, 올해 폴더블 OLED에는 7개 항목 전체에 대해 인증을 받았다.

추가된 3개 항목은 자원발자국, 오존층, 스모그 관련 항목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인증으로 환경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에 따르면 이러한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다양한 친환경활동의 결과물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생산 과정의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 환경 영향 저감 시설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공기질 영향을 줄이기 위해 공조용 보일러를 고효율 시설로 교체해 먼지와 산성비의 원인인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였다. 제조공정 내 용수 및 원료를 회수하고 재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해 물 사용량 절감과 동시에 배출수의 오염도도 낮췄다.

특히 신규 공정에는 배기 분해시설을 기존 대비 확대해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성분 배출을 대폭 감소시켰다.

절감 효과를 탄소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2300톤 수준이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35만 그루를 추가로 심는 효과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지난 9월에는 주요 생산거점인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가 폐기물 매립 최소화를 위해 자원 사용 절감 및 재활용 기술을 도입해 글로벌 환경안전 인증회사인 UL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Zero Waste to Landfill)’ 분야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은 바 있다.

sa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