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월 8만원짜리 KT '5G 슈퍼플랜 베이직' 요금제를 써 온 직장인 A씨는 KT가 새로 내놓은 '5G 심플' 요금으로 조만간 갈아탈 생각이다. A씨의 월 평균 데이터 이용량은 15~20GB지만 지금 쓰는 요금제는 데이터 완전 무제한이다. 데이터 이용량에 비해 통신비를 과하게 부담하고 있는 셈이다.
5G 심플은 월 1만1000원이 싼 데다 월 110GB 한도 소진 후에도 5Mbps 속도제어로 데이터를 계속 쓸 수 있어 사실상 완전 무제한에 가깝다. A씨는 "데이터가 여전히 많이 남겠지만 통신요금을 적잖이 낮출 수 있다"며 "5G 가입자들이 평균적으로 25GB 안팎의 데이터를 사용한다는데 이용 행태에 더 최적화한 5G 요금제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3사가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통신요금 인하를 약속하면서 5G 요금제 개편 방향이 관심이다. 이통 3사 모바일 담당 사장급 임원들은 지난 8일 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 참고인으로 나와 "연내 고객 친화적인 요금제 개편을 적극 추진하겠다"(SK텔레콤), "(요금제 개편을) 준비하겠다"(KT), "(요금제 개편에) 적극 동의한다"(LG유플러스)고 했다. 국회와 정부가 5G 요금 인하와 중저가 요금 출시를 지속적으로 압박·독려하고 코로나19 확산으로 통신 시장이 온라인 중심으로 바뀌자 5G 요금제 개편 방침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의 5G 요금제는 월 5만5000원에서 13만원 사이에서 조금씩 다르지만 대동소이하다. 월정액 5만5000원짜리 요금제는 월 8~9GB의 데이터를, 7만5000~13만원짜리 요금제는 150~200GB에서 완전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5만5000원짜리도 속도를 제어(1Mbps)해 데이터를 계속 쓸 수 있지만 대용량·초고속 5G의 장점과는 거리가 멀어 무제한이라고 부르기엔 민망하다. 더 저렴한 5G 요금제도 있으나 청소년과 시니어(노년층)에 국한된 특화 요금제다.
문제는 5G 요금제 구성이 촘촘하지 않고 요금 구간에 공백이 많아 고객별로 천차만별인 데이터 이용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를 보면 지난 8월 모바일 가입자 1인당 월평균 트래픽은 10.44GB, 5G 트래픽은 월평균 27.26GB로 증가 추세다.
그런데도 한 달 데이터 이용 한도 기준으로 10~150GB 사이엔 5G 요금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런 사정은 LTE 요금제도 크게 다르지 않다. A씨처럼 데이터 이용량 평균에 수렴하는 가입자들은 고가인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울며 겨자먹기로 써야 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5G 가입자들 사이에선 요금·데이터 구간별로 5G 요금제를 촘촘히 구성하는 게 급선무라는 지적이 나온다. 5G 가입자와 평균 데이터 이용량의 증가 추이를 감안하면 최저 월 7만5000~8만원 수준이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가격을 얼마나 낮출지가 최대 관심사다. 5G 가입자의 대략 60%는 무제한 요금제를 쓴다고 한다.
KT가 업계 최초로 내놓은 월 6만원대 무제한 요금제(5G 심플·월 110GB 한도 소진 후 5Mbps 속도제어)가 선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5G 심플 요금제는 사실상 완전 무제한 상품에 가까운 데다 선택약정 25% 할인을 적용하면 요금이 월 5만1750원까지 떨어진다.
특화 요금제를 모든 가입자로 확장한 월 3만~4만 원대 5G 중저가 요금제가 이통업계에 보편화할지도 관심거리다. KT는 월정액 4만5000원으로 매월 5GB의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고 최대 400Kbps(초당 킬로비트)의 속도로 데이터를 계속 이용할 수 있는 '5G 세이브'를 선제적으로 출시했다. 선약 할인을 적용하면 월 3만원대다. 일각에선 데이터 한도가 5G를 제대로 이용하기에 태부족이라는 점에서 정부의 중저가 요금제 압박에 면피성 요금제를 내놓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5G 온라인 전용 요금제 출시 여부도 관심거리다. LTE의 경우 대리점 관리 수수료 약 7%를 요금에서 할인해 주는 온라인 전용 요금제가 있다. 이통사 한 관계자는 "온라인 전용 요금제를 5G 요금제에 적용해 대리점 관리 수수료를 떼면 요금 인하 여력이 생길 수 있지만 차별적 혜택으로 보는 오프라인 유통점의 반발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