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5G 로봇이 공원 순찰"...LG유플러스 MEC 기반 자율주행 로봇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중 시흥 배곧생명공원에서 자율주행 순찰로봇 실증 진행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가 만도와 협력해 클라우드 기반의 5G 실외 자율주행 로봇을 만든다. 로봇은 공원 등 실외를 24시간 순찰하게 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만도와 '5G 실외 자율주행 로봇사업' 협력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5G 통신과 MEC(모바일엣지컴퓨팅) 기술로 클라우드 기반의 실외 자율주행 로봇을 만들 예정이다.

양사는 △로봇과 5G·MEC 인프라 연동 △초저지연 영상관제 솔루션 구축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컴퓨팅 △실외 자율주행 로봇 기술 실증 등에 협력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실외 자율주행 로봇은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데이터 처리와 관제를 클라우드에서 처리한다. 비용과 운영 효율은 물론 성능까지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MEC 인프라를 활용하면 로봇의 서비스 지역과 가까운 곳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덕분에 데이터 전송 구간을 줄여 초저지연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MEC 인프라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에서 운영한다. 영상 인식이나 빅데이터 분석과 같은 고사양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기능을 클라우드로 처리할 수 있게 되므로 하드웨어의 제약이 없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만도의 실외 자율주행 순찰로봇인 ‘골리’와 LG유플러스의 5G 통신, MEC 인프라, 원격관제 솔루션 등을 연동한다. 올해부터 시흥 배곧생명공원에서 실증을 진행하고, 향후 IoT 연동을 통한 서비스 기능 고도화 등 순찰로봇 상용화에 지속 협력할 방침이다.

조원석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는 "MEC 기술을 활용하면 자율주행 로봇의 핵심인 '초저지연'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영상분석과 같은 고사양 기능도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며 "5G 통신과 MEC 기술로 로봇의 활용 범위와 사업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창훈 만도 WG캠퍼스 본부장(부사장)은 "이번 협력으로 만도 자율주행 로봇 순찰 영상 처리 성능이 혁신적으로 향상될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부가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차현아 기자 chacha@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