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자율주행 스타트업 코드42, 150억원 투자 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지영 기자] [지난해 기아차 이어 LIG넥스원·KTB네트워크·신한은행 참여…도심형 통합 플랫폼 '유모스' 개발 주력]

머니투데이

코드42는 18일 브릿지 투자(Bridge Invest) 건과 관련해 투자사와 함께 화상으로 세레머니를 진행했다. 이번 세메러니에 참여한 코드42 송창현 대표(상단, 왼쪽), LIG넥스원 김지찬 대표(상단, 오른쪽), KTB네트워크 김창규 부사장(하단, 왼쪽), 신한은행 투자금융부 장호식 부장(하단, 오른쪽). / 사진제공=코드4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인 송창현 대표가 이끄는 자율주행 스타트업 기업 코드42가 150억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코드42는 LIG넥스원, KTB네트워크, 신한은행으로부터 각 50억원 씩, 총 150억의 투자액 유치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지난해 10월 기아자동차를 포함해 국내 주요 대기업인 SK, LG, CJ로부터 총 300억 규모의 투자 이후 9개월 만에 성사됐다.

전략적 투자사(SI)인 LIG넥스원과 재무적 투자사(FI)인 KTB네트워크와 신한은행의 합류로 코드42는 플랫폼 개발을 비롯해 서비스 출시에 속도를 올릴 예정이다. 이번 투자로 코로나19(COVID-19) 유행 이후 얼어 있던 산업에 단행된 대규모 투자인만큼 모빌리티 시장이 활기를 띌 전망이다.

코드42는 핵심 기술력을 집약해 도심형 통합 플랫폼 '유모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유모스는 자율주행차, 드론, 딜리버리 로봇 등 다양한 미래 이동수단을 통합해 차량 호출, 공유, 로보택시(수요응답형), 스마트 물류, 식음료 배달, 이커머스 등 모빌리티 서비스의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플랫폼이다.

LIG넥스원은 코드42와 자율주행 핵심기술의 고도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미래 국방기술의 선제적 개발에 나선다. LIG넥스원의 핵심 기술력인 레이더와 센서 등 정밀 전자분야 내 협력도 기대된다. 양사는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플랫폼 공유 △모빌리티 솔루션의 국방 무인 체계 적용 △국방 및 민간기술 상호교류를 통한 스핀온·오프(Spin-On·Off)의 동시실현 등 다양한 업무협력을 추진한다.

김지찬 LIG넥스원 대표이사는 “무인수상정, 드론, 무인전술차량, 로봇 등 최신 무기체계에서 자율주행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며 “양사가 쌓아온 노하우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LIG가 방위 산업과 더불어 민간 분야로 영토를 확장하는데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고자 한다”고 말했다.

KTB네트워크 투자 담당자들은 “제조사와 IT기업 간 치열한 합종연횡이 발생하는 글로벌 산업군에서 이미 유니콘 기업들이 탄생하고 있다”며 “한국의 첫 모빌리티 유니콘이 코드42가 되도록 수십년 간 축적된 안목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도약의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고 투자배경을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핀테크와 모빌리티 서비스를 접목한 고객 맞춤형 상품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지점망 금융 네트워크가 모빌리티 스팟으로 변모해 고객들과의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하는 기회가 창출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송창현 코드42 대표는 “이번 브릿지 투자 유치로 코드42는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사업 확장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되었다”며 “투자금은 변화에 적응이 빠른 개발팀들을 유치하는 동시에 모빌리티 생태계인 유모스 커넥트를 함께 구축할 얼라이언스들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 및 인수의 방향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지영 기자 kjyou@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