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기술 오용 대항 위해 원칙 수립 중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이 인공지능(AI) 사용에 관한 윤리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협의체에 가입했다. 그간 미국은 지나친 AI 규제는 자국 내 혁신을 방해할 것이라며 가입을 거부해왔는데,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중국 견제를 위해 입장을 바꾼 것으로 분석된다.
AP통신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회원국으로 구성된 ‘인공지능을 위한 국제 협의체(GPAI)’가 출범했다.
이 단체는 국제사회가 “인권, 다양성, 포용성, 혁신, 경제 성장”의 원칙에 기반해 AI를 활용하도록 이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처음 설립을 제안했다.
G7 회원국 중 유일하게 동참해오지 않은 미국의 가입으로 이날 이 단체는 최초 제안 2년 만에 공식 출범했다.
미국의 입장 변화는 고조되는 중국과의 갈등 속에서 중국의 기술 굴기(堀起)를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AP통신에 따르면 마이클 크라시오스 백악관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시민의 자유를 위협하는 중국의 “기술 오용”에 대항하기 위해 민주적 원칙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 기술업체들이 유엔에서 안면인식과 감시에 관한 국제적 기준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감시장비에 AI 기술을 접목해 사회 전체를 손바닥보듯 분석하는 빅브라더 체제를 지향한다는 우려를 서방으로부터 사고 있다.
크라시오스는 지난 1년간 협의를 했고 이 단체의 활동 범위가 달라져서 GPAI에 가입하게 됐다고 설명하며 “특정 기준이나 정책을 제정하는 단체가 되지 않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박성규기자 exculpate2@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