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유은혜 “고3 내일부터 매일 등교…무한정 유보 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등교 수업 어렵다 판단되면 신속히 조치할 것”
서울신문

개학준비추진단 회의에서 발언하는 유은혜 부총리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9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학기 개학준비추진단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0.5.19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9일 “20일 고등학교 3학년들의 등교 수업이 시작된다”면서 “고3은 매일 등교를 원칙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학년들은 격주나 격일제 등교 등으로 과밀학급을 해소할 예정이다.

유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학기 개학준비추진단 회의를 주재하며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유은혜 “교육부·교육청 24시간 대응하라”

서울 이태원발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이 이어지는 등 코로나19 전파 우려가 남아 있지만 교육부는 20일 진학·취업이 시급한 고3을 시작으로 일주일 단위로 순차적으로 등교 수업을 예정대로 진행할 방침이다.
서울신문

신학기개학추진단 회의 모두발언하는 유은혜 사회부총리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9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신학기 개학준비추진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5.19/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 부총리는 “매우 어렵고 힘들게 등교 수업 결정을 했다”면서 “코로나19 상황이 언제 종식될지 알 수 없고 가을 대유행이 언급되는 상황에서 45만명 고3 학생들의 상급 학교 진학, 사회 직업 진출의 길을 무한정 유보할 수 없다”며 등교 결단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교육부는 19일부로 비상 상황실을 운영하고 비상 근무 체제로 전환할 것”이라면서 “교육청도 전국적으로 24시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달라”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코로나19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등교 수업이 어렵다고 판단하면 신속히 추가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는 애초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주재하기로 했다가 고3 등교 개학을 하루 앞두고 유 부총리 주재로 격상됐다.
서울신문

고3 등교 앞둔 학교 급식실 방역 - 고등학생 3학년 등교를 하루 앞둔 19일 오전 광주 북구 살레시오고등학교 코로나19 예방 칸막이가 설치된 급식실에서 광주 북구청 방역반원들이 방역하고 있다. 2020.5.19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은혜 “아프면 등교금지 등 7가지 수칙 지켜라”

유 부총리는 학생 분산을 위해 “고3은 매일 등교를 원칙으로 하되 과밀 학급은 특별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분반 수업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도록 할 것”이라면서 “고3 이외의 학년은 격주, 격일, 주 1회 이상 등교 등의 방식으로 등교 학생 밀집도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학교 내에서 코로나19 의심 증상자가 발생하거나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매뉴얼에 따라 학교, 교육청, 교육부가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전국 소방서에서 코로나19 전담 구급대가 즉시 출동해 환자의 이동을 지원하는 원스톱 지원 서비스가 실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학교와 학부모, 학생들에게 등교 전에 건강 자가 진단 제출, 몸이 아플 때 등교 금지, 등교하면 책상 닦기, 교실 창문 열어 환기하기, 학교 안에서 생활할 때에는 식사 시간 외에 마스크 착용하기, 30초 손 씻기, 몸에 이상 증상이 느껴지면 보건 교사, 교사에게 즉시 말씀드리기 등 7가지 수칙을 반드시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신문

개학 앞두고 ‘에어컨 점검 및 교실 환기’ - 고등학교 개학을 시작으로 순차적 등교를 앞둔 7일 오후 서울 성동구 무학여자고등학교에서 한 교사가 에어컨 가동 점검 및 교실 환기를 하고 있다. 2020.5.7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