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7년간 1조974억 투입…'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혁신사업' 예타 통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1조974억원 규모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0월 수립한 '미래자동차 발전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등 4개 부처가 공동 추진한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지난 24일 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최근 예타 통과 사업 중 사업비 규모가 높은 수준의 사업으로, 내년부터 2027년까지 7년간 1조974억원(국비 8320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산업부, 국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기획·예산·집행 등 전 단계에서 협업을 강화하는 '부처 매칭형 신협력모델'을 적용한다. 자율차 분야에 대한 핵심기술개발, 인프라, 실증, 서비스 뿐만 아니라 표준화, 법·제도 등 패키지형 지원을 할 계획이다.


4개 부처는 향후 범부처 협의체를 상시화하고, 효율적인 사업 통합 관리를 위한 '자율주행 융합사업단(가칭)'을 설립·운영할 예정이다.


현재 자율주행 차량은 주행차선 이탈 방지, 차량 간격 유지 등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해주는 레벨2 수준이 양산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차량 스스로 상황을 인지·판단해 주행하는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정부는 융합형 레벨4의 완전 자율주행 기반 완성을 위해 ▲영상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등 차량융합 신기술 ▲데이터 처리, 차량통신·보안 등 ICT융합 신기술 ▲교통인프라 정보와 연계한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신산업 창출, 사회적 현안 해결 등 서비스 개발 ▲법·제도 개선을 통한 생태계 구축 등 5개 분야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 주요 도로에서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함으로써 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선도와 미래 서비스산업 창출 뿐만 아니라 국내 교통시스템의 선진화를 달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교통사고 저감, 교통약자 지원, 교통 정체 완화, 안전·인증기준 수립, 초연결 양방향 통신 구현 등을 통해 산업기술과 사회문화적인 파급효과도 달성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종=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