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보다 2배 빠른 속도에 그쳐
28GHz 대역 주파수 상용화까지
최소 5년 소요 뒤에 안착 가능
일상활용 안되면 광고법 위반소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로 대용량 영화를 다운 받아요. 자율주행차와 신호등을 연결해 신호를 놓치지 않아요.”
꼭 1년 전인 지난해 4월, 이동통신 3사가 5세대(5G) 이동통신망을 처음 개통할 때 강조한 문구다. 4G와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 펼쳐질 것처럼 선전했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실제 5G 속도는 ‘4G보다 약 2배 빠른(최대 2.7Gbps·에스케이텔레콤)’ 정도에 그쳤다. 5G의 특성을 온전히 구현할 28GHz 대역 밀리미터웨이브(mmwave)는 아직 개발 단계인데다, 적용되더라도 활용 범위가 한정적일 가능성이 높아서다. 학계에선 5G가 시장에 안착하려면 최소 5년 이상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1년 전의 약속이 제대로 실현되지 않은 이유는 뭘까. 통신 3사가 내세웠던 5G의 초연결·초저지연·초고속성은 28GHz 대역 주파수일 때 극대화된다. 지난해 구축된 3.5GHz 주파수 대역은 엘티이와 합친 최대 속도가 2.7Gbps(에스케이텔레콤 기준)로, 광고 속도인 20Gbps의 약 7분의 1에 불과하다. 5G를 제대로 구현하려면 28Gbps 대역이 필요한데 초고주파 특성상 도달거리가 짧은 데다 장애물 투과율도 낮아 일상 생활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5G 통신용 모뎀칩 연구·개발을 담당한 임태호 호서대 교수(정보통신공학부)는 “28GHz 주파수는 손으로 휴대폰을 감싸거나 기지국과 휴대폰 사이에 자동차가 지나가면 신호가 끊긴다. 비만 와도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에 일상적인 통신 서비스로 내놓기엔 부담이 있다”고 했다. 또 “200m마다 기지국을 깔아야 해 사실상 전국망 구축이 어렵고 안테나도 많이 필요하다. 휴대폰 배터리도 3시간 만에 닳아 연구진들의 고민이 많다”고 했다. 그는 전국망 5G를 내세운 광고와 달리 기지국을 촘촘히 깐 특정 실내 공간 위주로 28GHz 주파수를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아직 28GHz와 3.5GHz 주파수를 동시에 쓸 수 있는 스마트폰과 기술표준은 나오지 않았다.
산업 현장에 쓰이는 5G 활용가치를 두고선 여전히 의견이 엇갈린다. 최수한 단국대 모바일시스템공학과 교수는 5G에 대해 “현재보다는 미래에 더 적합한 기술”이라며 “신호 반응 속도가 빨라 공장 기기를 지연 없이 한꺼번에 가동할 수 있고 원격의료와 자율주행차처럼 실시간으로 정교하게 작업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다른 의견도 있다. 김학용 순천향대 교수(IoT보안연구센터)는 “수시로 움직이는 로봇이 아니라 한 곳에 고정된 기기를 인터넷과 연결한다면 유선인터넷과 기능상 큰 차이가 없다”면서 “오히려 유선이 5G보다 값도 싸고 주파수 간섭 위험도 낮아, 사업주들이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5G를 쓸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자율주행차에 대해서도 “완성차 업체들이 통신 끊김을 우려해 컴퓨터와 센서를 차체에 직접 탑재하는 추세”라며 “5G 의존도가 기대만큼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5G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장재현 엘지(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관련 산업 수요가 올라오기까지 5년, 5G 시장이 안착하기까지는 1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본다”며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콘텐츠만으론 어렵고, 신규 스마트폰과 요금제 하락으로 소비자 시장을 얼마나 끄느냐가 관건”이라고 했다.
끝내 28GHz가 일상생활에 활용되지 못한다면 이동통신사들이 낸 광고는 표시광고법 위반이 될 소지가 있다. 지난해 9월 공정거래위원회는 엘티이 최고 속도를 내는 기지국이 전체의 3.5%에 불과한데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구현되는 것처럼 광고한 케이티를 ‘부당광고행위'로 제재했다.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받아들일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행위는 표시광고법상 금지되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5G 광고 조사 여부는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다”고 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연속보도] n번방 성착취 파문
▶신문 구독신청▶삐딱한 뉴스 B딱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