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공공부문 일자리 245만개…전체 취업자의 9.1%(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8년 기준, 전년보다 2만개 ↑…30·40대 줄고 50대·60세이상 늘어

공무원 근속기간은 15.6년…민간의 약 3배

(세종=연합뉴스) 이 율 기자 = 2018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가 전년보다 2만개 늘면서 전체 취업자의 9.1%를 차지했다.

30대와 40대 일자리는 감소한 반면 50대와 60세 이상 일자리는 크게 늘었다.

연합뉴스

남녀 고용 불평등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를 보면 2018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는 245만4천개로 전년보다 2만개(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폭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작았다.

일반정부(209만7천개)는 전년보다 1만3천개(0.6%) 늘었고, 공기업(35만4천개)은 7천개(2.1%) 증가했다.

일반정부 일자리를 나눠보면 중앙정부(78만9천개)는 1만2천개, 사회보장기금(4만1천개)은 4천개 각각 늘어난 반면 지방정부(126만7천개)는 3천개 감소했다.

공기업에서는 금융공기업(2만6천개)은 전년과 같았고, 비(非)금융 공기업(32만8천개)은 7천개 늘었다.

◇ 30~40대 일자리 감소…"줄어든 일자리는 대부분 비공무원 일자리"

연령별로 보면, 30대와 40대 일자리는 각각 1만4천개(2.1%), 1만2천개(1.7%) 줄어들었다.

반면, 50대와 60대 일자리는 각각 2만2천개(3.9%)와 1만3천개(9.1%) 늘었다.

연합뉴스

[그래픽]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 현황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를 보면 2018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는 245만4천개로 전년보다 2만개(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폭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작았다. jin34@yna.co.kr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30~40대 일자리는 주로 계약직 등 비정규직 공무원에서 줄었는데, 이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데 시간이 걸려 줄어든 것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자리는 근로자가 1년간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하기 때문에 점유 기간에 따라 실제 채용된 인원보다 숫자가 훨씬 적을 수 있다"며 "예를 들어 한 사람이 6개월간 근무했다면 일자리는 0.5개로 계산된다"고 설명했다.

줄어든 30∼40대 일자리는 대부분 비공무원 일자리였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비공무원은 계약직과 기간제 등 비정규직 공무원을 말한다.

통계청은 공무원과 비공무원을 공무원연금·군인연금 가입 여부에 따라 나눴다. 지난해 정부기관(공무원+비공무원, 공기업 제외) 일자리가 189만4천개로 전년보다 5천개 늘어난 가운데 공무원 일자리는 2만5천개 증가한 반면 비공무원의 일자리는 2만개 감소했다.

비공무원 일자리는 30대에서 1만6천개(13.4%), 40대에서 1만3천개(8.1%) 각각 줄어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공무원 일자리는 30대에서 2천개, 40대에서 4천개 각각 늘었다.

연합뉴스

정부세종청사 전경[연합뉴스 자료사진]



◇ 여성 일자리 비중 45.0%…민간에선 41.5%

전체 공공부문 일자리를 성별로 보면 남성 일자리가 134만9천개(55.0%)로 여성(110만2천개·45.0%)의 1.22배 수준이었다.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 중 남성 일자리 비중이 58.5%로 여성의 1.41배인 점에 비춰보면 공공부문은 상대적으로 여성 비중이 높은 셈이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지속일자리는 218만1천개(89.0%)였고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바뀐 일자리는 21만9천개(8.9%) 신규 채용된 일자리는 5만1천개(2.1%)였다.

지속일자리란 1년 이상 동일한 사람이 일자리를 점유한 사례로, 상대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를 말한다.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 중 지속일자리가 71.0%, 대체일자리가 16.3%, 신규채용 일자리가 12.7%라는 것과 비교하면, 안정성이 압도적으로 높다.

신규채용 일자리 중 일반정부 일자리는 4만개로 전체의 77.9%를 차지했으며, 공기업이 1만1천명(22.1%)로 뒤를 이었다. 공공부문 지속일자리 중 남성 일자리 비중은 56.2%지만 신규채용 일자리는 여성이 54.0%로 남성보다 더 많았다

근속기간별로 보면 3년 미만이 28.9%로 가장 많았고 20년 이상(23.9%), 10∼20년(22.9%), 5∼10년(14.6%), 3∼5년(9.8%) 등 순이었다.

우리나라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는 3년 미만이 60.2%, 20년 이상이 3.4%인 점과 비교하면 공공부문 일자리의 근속기간이 훨씬 긴 편이다.

산업 분류별로 일자리를 살펴보면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7.9%)과 교육서비스업(28.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3.4%) 순으로 많았다.

총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의 비율은 9.1%로 전년보다 0.04%포인트(p) 상승했다. 일반정부는 7.8%, 공기업은 1.3%로 전년보다 각각 0.02%p 높아졌다.

전체 일자리 중 일반정부 일자리 비중은 OECD 회원국 평균 17.7%(2017년 기준)의 절반 수준으로, 일본 5.89%에 이어 꼴찌 수준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대선 공약에서 우리나라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이 7.6%로 OECD 평균의 3분의 1 수준이라며, 이를 3%p 올려 공공부문에서 81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었다.

문재인 정부는 같은 해 10월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공공일자리 81만개 창출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2018년 말 기준 공공부문 고용비율이 9.1%로 올라서면서 대선 공약 목표치의 절반을 이행한 셈이다.

연합뉴스


◇ 공무원 근속기간 15.6년…민간부문의 3배 가까워

우리나라 정부 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의 근속기간은 15.6년으로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5.3년)의 3배에 가까웠다.

2018년 말 기준 정부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의 평균 근속기가는 15.6년, 비공무원은 4.1년이었다. 우리나라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이 5.3년인데 비하면 공무원의 평균 근속기간은 민간의 3배에 가까운 셈이다.

공무원들은 직업 안정성도 높았다.

2018년 정부기관의 지속일자리는 89.4%, 신규채용 일자리는 10.6%였다.

정부기관의 69.6%는 공무원, 30.4%는 비공무원인데 각각의 지속일자리와 신규채용 일자리 비중을 보면 공무원의 안정성이 훨씬 높다는 점이 나타난다.

공무원의 지속일자리는 96.7%였지만, 비공무원의 지속일자리는 72.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공무원의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3.3%로 작은 반면, 비공무원의 경우 27.2%나 차지했다.

근속기간별로 봐도 공무원 중 64.1%가 10년 이상 근무해 안정성이 높았다. 반면 비공무원의 61.2%는 근속기간이 3년 미만이었다.

안정적인 공무원은 남성의 비율이 높았고, 비공무원은 여성의 비율이 높아 대조를 이뤘다. 공무원의 남성 비율은 59.8%였고, 비공무원의 여성 비율은 64.3%였다.

정부기관 전체로 보면 남성이 차지한 일자리는 52.5%, 여성이 차지한 일자리는 47.5%였다.

연합뉴스


yuls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