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선거제 개혁

'4+1 협의체' 선거법·검찰개혁법안 합의..'석패율제 포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1 협의체'가 23일 패스트트랙에 지정된 선거법 개정안과 검찰개혁법안에 대한 최종 협상안을 도출했다. 쟁점이 됐던 석패율제는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4+1 협의체 원내대표급 회동.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유성엽 대안신당 대표·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조배숙 민주평화당 원내대표·김관영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왼쪽부터).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4+1 협의체(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 당권파·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는 23일 선거법 개정안과 검찰개혁법안 등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법안 대한 최종 협상안을 도출했다. '4+1 협의체'는 이날 오후 패스트트랙법안을 본회의에 일괄 상정해 처리할 방침이다.

민주당 원내대변인 정춘숙 의원은 '4+1 협의체'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4+1 협의체에서 선거법에 대해 정리를 했다. 공수처법(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법)과 검경수사권 조정 부분도 의견이 거의 좁혔고 마지막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4+1 협의체'는 선거법 관련 지역구 의석과 비례대표 의석수를 현행 253석-47석으로 유지키로 했다. 패스트트랙 원안에 올라간 '지역구 225석-비례대표 75석 안'에서 크게 물러선 내용으로 자유한국당의 협상 참여를 이끌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다만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 30석에 대해 연동률 50%를 적용하면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라는 법 개정 취지는 유지하게 됐다.

'4+1 협의체' 참여 정당 중 민주당을 제외한 야4당이 요구했던 석패율제는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비례대표 의석 배분을 위한 최소 정당 득표율(봉쇄조항)은 3%로 확정했다.

검찰개혁법안과 관련해선 공수처의 기소 판단을 심의하는 기소심의위원회는 설치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공수처장은 추천위원회 위원 7명 중 6명의 찬성으로 2명을 추천한 뒤 대통령이 그 중 1명을 택하면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하는 방안으로 최종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이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