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로봇이 온다

NH농협은행, '로봇 자동화 시스템' 강화…디지털 전환 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로봇 120대가 연간 20만 시간의 업무 대체

아시아투데이

이대훈 은행장(가운데)이 서울 중구에 위치한 농협은행 본점 RPA 컨트롤룸을 찾아 점검하고 있다./제공=농협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최정아 기자 = NH농협은행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의 일환으로 39개 업무에 로봇 120대 규모의 RPA(로봇프로세스자동화)를 도입하는 고도화 사업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개인여신 자동기한연기, 휴폐업 정보조회 등 업무에 은행권 최대 규모의 RPA를 도입한 데이어, 이번엔 로봇PC 가상화 시스템을 도입했다. 로봇운영을 총괄하는 ‘RPA 컨트롤룸’을 확대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로봇PC 가상화 시스템이란 지속적 RPA 업무 확산에 따라 로봇PC 수량 증가로 발생하는 공간적 제약사항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관리·운영해주는 시스템이다.

RPA 적용 업무 유형도 기업여신 금리승인, 수입신용장 인수금리 승인, 관심기업 모니터링 등 여·수신, 외환, 카드, 마케팅, 리스크 관리 등 본부 업무 전방위로 확대되어 연간 약 20만 시간의 업무량 절감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이밖에 농협은행은 RPA와 AI(인공지능)를 융합해 금융상품 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판매 여부를 점검하는 로봇 프로세스를 개발 중이다. 농협은행 측은 “내년부터 실전에 투입할 예정”이라며 “불완전판매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대훈 은행장은 “고객에게 디지털 금융으로 다가가기 위해서는 은행원 스스로가 먼저 디지털화되어야 한다. 앞으로 농협은행에서는 로봇과 사람이 함께 일하는 업무 문화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디지털 금융기업으로의 전환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