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뒤늦게 윤 총경 사무실 있는 서울지방경찰청 압수수색
법조계 "검찰, 압수 대상자에 대한 사전 정보 부족했다" 비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기민 기자] 검찰이 클럽 ‘버닝썬’ 비리 연루 의혹을 받는 윤모 총경(49)과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경찰청을 압수수색에 나섰으나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검찰은 윤 총경의 사무실이 서울지방경찰청에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파악하고 압수수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적 관심사를 모은 사건의 중요 피의자에 대한 압수 장소 등을 두고 사실상 실책으로 압수수색이 늦어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동시에 검찰이 압수 대상자에 대한 사전 정보가 부족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27일 검찰과 경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박승대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9시께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청사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클럽 버닝썬과 유착관계라는 의혹을 받는 윤 총경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 출신인 윤 총경은 경찰의 버닝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가수 승리(29·이승현)과 유착했다는 의혹을 받는 인물로, 승리의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에서는 ‘경찰총장’으로 불렸다. 윤 총경은 승리와 그의 동업자인 유인석 전 유리홀딩스 대표가 2016년 7월 강남에 개업한 주점 ‘몽키뮤지업’의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신고가 들어오자 서울 강남경찰서 경찰관들을 통해 단속 내용을 확인한 뒤 유 전 대표에게 알려준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올해 6월 윤 총경의 단속 내용 유출과 관련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에 대해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검찰은 아울러 윤 총경이 유 전 대표에게 6번의 식사· 4번의 골프 접대·콘서트 티켓 3회를 제공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다시 살펴보고 있다. 경찰은 이에 대해 청탁금지법상 형사처벌 기준에 못 미친다며 불기소의견으로 송치한 바 있다.
또한 윤 총경은 서울중앙지검 특수 2부(고형곤 부장검사)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조 장관 일가의 사모펀드 투자 의혹과 관련해 주식 투자 등으로 연관된 인물이다. 앞서 검찰은 윤 총경과 유 전 대표를 이어준 것으로 알려진 특수잉크 제조업체 녹원씨엔아이(옛 큐브스)의 정모(45) 전 대표를 지난 19일 횡령 혐의로 구속했다. 조 장관 가족의 사모펀드 운용사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코링크PE)가 최대주주인 코스닥업체 더블유에프엠(WFM)이 2014년 큐브스에 투자한 바 있다. 김모 현 WFM 대표가 큐브스 출신이다. 윤 총경은 과거 큐브스 주식을 수천만원어치 매입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검찰이 윤 총경 수사를 통해 버닝썬 뿐만 아니라 조 장관과 관련된 의혹을 동시에 살펴보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검찰의 이날 압수수색은 초반부터 꼬이기 시작했다. 검찰은 오전 9시께부터 압수수색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압수수색 대상과 범위를 두고 경찰과 이견이 생겨 경찰청사 내부에서 오후 5시께까지 대기했다가 수색에 나섰다. 경찰청 관계자는 “압수수색은 윤 총경이 대기발령 당시 근무했던 장소를 확인하는 정도였고, 실제 압수물도 없었다”고 밝혔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을 다시 받아 윤 총경의 현재 근무지인 서울 서대문구 내자동에 있는 서울경찰청으로 이동했다. 앞서 윤 총경은 경찰청 인사담당관으로 일하다가 버닝썬 사건에 연루돼 올해 3월 대기발령 조치된 바 있다. 최근 인사에서 서울경찰청 치안지도관으로 전보됐다.
법조계에서는 이 때문에 국민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중요사건 피의자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관련 보도가 나온 지 7~8시간여 동안 압수수색을 진행하지 못한 것은 검찰의 실책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검찰이 압수수색 대상자의 근무지와 압수해야 할 장소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시간을 지체한 것이라면 비판 받아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사안의 중대성, 압수색에 본격 돌입한 시간 등을 고려할 때 실책을 넘어선 참사라는 날선 지적도 나온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